목차
Ⅰ. 디지털, 글로컬 그리고 문화융합
Ⅱ. 디지털시대와 문화융합
1. 글로컬라이제이션과 문화융합
1 문화와 문화교류
2 문화적 경험들의 매개
3 미디어와 문화융합
2. 디지털과 문화절체
1 디지털과? 미디어기술
2 문화절체와 체험
3 미디어체험
3. 문화융합을 위한 글로컬 미디어콘텐츠
1 문화융합과 글로컬 미디어콘텐츠
2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한국문화체험
3 국가 간 문화교류와 문화콘텐츠 수용의 의미
Ⅲ. 한국문화의 복합적 수요와 미디어의 역할
1. 미디어와 문화전파
1 프랑스 TV5monde
2 문화융합 관점의 TV5monde
2. 미디어와 문화수요
1 한국문화의 복합적 수요
2 한국문화의 산업적 수요
3 해외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
3. 미디어와 문화체험
1 한국문화체험의 층위
2 미디어를 통한 한국문화 공유영역의 확대
Ⅳ. 한국문화의 글로컬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 기획론
1. 글로컬 관점의 문화융합과 신한류
1 신한류의 흐름과 외국인의 문화수용태도
2 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는 한국문화의 글로컬화
3 사회적 필요를 통합하는 미디어 전략
2. 한국문화체험의 재구성
1 한국문화체험유형의 분절과 다양화
2 체험을 중심으로 한 단계별 미디어전략
3 미디어체험네트워크의 구축
3. 한국문화콘텐츠의 글로컬화
1 한국문화콘텐츠 관리시스템
2 한국문화교육시스템
3 한국문화 미디어네트워크
Ⅴ. 한국문화의 글로컬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의 역할
출판사 서평
이 책에서는 21세기 문화의 의미를 ‘관계와 소통을 위한 인간관계의 지향’에 두고 유사 이래 다루어진 문화와 미디어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들이 관계와 소통을 위하여 어떻게 작용하였는지에 관해 살?펴본다. 또한 ‘미디어-콘텐츠’의 관계를 고찰하면서 문화융합의 관점에서 한국문화의 글로컬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한국문화의 글로컬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의 문제를 한국 문화의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우리의 일상을 설명할 수 있는 도구의 의미로 받아들이면서, 문화융합을 위한 실천적의지의 표상으로 우리사회의 문제의식을 ...
이 책에서는 21세기 문화의 의미를 ‘관계와 소통을 위한 인간관계의 지향’에 두고 유사 이래 다루어진 문화와 미디어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들이 관계와 소통을 위하여 어떻게 작용하였는지에 관해 살펴본다. 또한 ‘미디어-콘텐츠’의 관계를 고찰하면서 문화융합의 관점에서 한국문화의 글로컬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한국문화의 글로컬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의 문제를 한국 문화의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우리의 일상을 설명할 수 있는 도구의 의미로 받아들이면서, 문화융합을 위한 실천적의지의 표상으로 우리사회의 문제의식을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의 차원에서 다룬다. 통섭(通攝, 컨버전스(convergence, 퓨전(fusion 등 다양한 융합의 개념을 국가 간 문화교류에서 상호 주체들의 당위와 필요성을 충족시켜 나가기 위한 문화융합의 과정으로 인식하면서, 보다 실질적인 ‘문화-문화’권의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문화융합을 위한 원론적인 문화ㆍ미디어ㆍ상상력의 관계 의미를 현재의 디지털ㆍ미디어ㆍ콘텐츠의 관계 속에서 찾아보고, 학제 간 관점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적 관점’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현재 시점에서 문화를 설명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ㆍ미디어ㆍ디지털의 시대사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하여 미디어철학ㆍ커뮤니케이션ㆍ뉴미디어기술의 학제적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