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 글
침묵과 망각에 반하여
우리는 선택했고 그 결단에 따라 감수한 것이죠
구술 김은혜, 글 강곤
여자들의 말하기는 저항이고 투쟁이에요
구술 유숙열, 글 홍세미
국보법이 폐지되면 그 자리에서 춤을 출 거여
구술 정순녀, 글 홍세미
세상에 눈을 뜨니 너무 자랑스러운 거여
구술 김정숙, 글 이호연
기억되지 못한 시간들―봉인된 24년
구술 고애순, 글 유해정
내 청춘은 역사도, 경력도 되지 못했다
구술 양은영, 글 유해정
종이 한 장의 무게
구술 유해정, 글 강곤
오빠를 간첩이라 했던 제 괴로움을 저들은 모릅니다
구술 유가려, 글 강곤
우리는 그렇게 몰아가도 되는 사람이었던 거예요
구술 배지윤, 글 박희정
이렇게 하면서까지 국가가 원했던 게 뭔가요?
구술 안소희, 글 박희정
차라리 살인죄라면……
구술 권명희, 글 홍세미
덧붙이는 이야기
‘분단’과 젠더―정희진
구술자들이 겪은 사건들
“이제는 국가보안법을 박물관으로!”
“국가보안법을 박물관으로!”
이제는 국가보안법을 없앨 때가 되지 않았을까? 이 책은 ‘국가보안법을 박물관으로’라는 시민운동을 준비하면서 국가보안법이 폐지되어 국가보안법 박물관이 만들어진다면, 국가보안법과 관련된 목소리들을 기록하고 보존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 책의 글쓴이들(홍세미, 이호연, 유해정, 박희정, 강곤과 사진가(정택용는 오랫동안 한국 사회의 현장에서 기록 활동을 펼쳤던 이들이다. 용산참사, 밀양송전탑, 형제복지원, 세월호참사, 비정규직 투쟁, 고공농성 등 한국 사회의 모순이 폭발할 때마다 현장으로 달려가 기록을 남겼다. 그들이 이번에는 ‘여성 서사로 본 국가보안법’ 프로젝트와 만났다.
이 책에 담긴 목소리의 주인공들은 1970년대 대학생이었던 이들부터 이제 막 40대에 이른 이들까지 다양하다. 1980년대 5공화국 시절부터 최근 10년도 안 된 사건의 피해 당사자이거나 관계자들이다. 국가보안법 투쟁의 산증인이자 언제나 최전선에 섰던 민가협 어머니들부터 탈북민 간첩 조작 사건 피해자를 망라한다. 국가보안법과 맞닥뜨렸을 때 이들은 보통의 어머니였고, 아내였고, 기자였고, 운동권 대학생이었고, 시의원이었고, 북한이탈주민이었다. 그리고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여성이라는 점이다. 또한 이들은 국가보안법과 마주하면서 큰 고통을 겪긴 했지만. 피해자에서 정치적 주체로 거듭나기도 했다.
왜 여성의 목소리를 들어야 하는가?
왜 국가보안법 역사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들어야 하는가? 한국 민주화운동 역사에서 여성들의 공헌은 대단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남성들 중심으로 소개되어왔다. 국가보안법의 피해와 저항의 역사에서도 여성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남편이나 아들이 국가보안법으로 구속되어도 그 뒤에서 ‘옥바라지’를 하고, 구속자 석방 운동을 한 여성들의 존재는 잘 드러나지 않았다. 같은 국가보안법 피해 당사자이지만 여성보다 남성이 더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은 건 사실이다. 곧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이 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