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울거나 징징대거나
0∼2세 아이들
1. 떼쓰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2. 아이를 기죽이지 않고 키울 수 있을까? | 3. 징징대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4. 공격적인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5. 할퀴고 꼬집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6. 울면서 매달리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7. 물건을 던지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8. 때리고 깨무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9. 아이 콘택트를 거부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10. 무표정하고 반응이 없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11. 너무 많이 우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12. 화나면 자기 머리를 때리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13. 너무 안 먹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14. 음식을 삼키려 하지 않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15. 밥으로 장난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16. 친구를 꼬집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17. 손가락을 빠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18. 배변 훈련, 어떻게 하면 좋을까? | 19. 말이 늦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20. 영재성이 보이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21. 휴대폰에만 흥미를 보이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22. 텔레비전을 많이 보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23. “안 돼!”라고 말 못 하는 엄마, 이대로 괜찮을까? | 24. 맞벌이 부부는 아이와 어떻게 놀아 주어야 할까? | 25. 아빠를 싫어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26. 학대하는 아빠, 어떻게 해야 할까? | 27. 남편과 사이가 좋지 않아도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까?
2장 떼쓰거나 말썽 부리거나
3세 아이들
1. 부모의 과잉보호, 어떻게 해야 할까? | 2. 울며 떼쓰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3. 잠투정이 심한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4. 친구와 말을 안 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 | 5. 깔끔한 성격의 아이, 이대로 괜찮을까? |
아이의 욕구 불만이 쌓이면
문제 행동이 나온다!
아무리 바쁘고 힘들어도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다. 전업 맘이든 직장 맘이든 부모로서 우선순위로 생각하고 챙겨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아이의 정서성과 사회성이다. 만 2세까지는 애착 형성에 최선을 다하고, 만 5세까지는 안정된 애착으로 정서 사회성을 키워 주어야 한다. 부모와 자녀 간 상호 작용의 질에 따라 만 2세 전에 애착이 결정되고, 만 5세 전에 성격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시기에 아이가 마땅히 받아야 할 관심과 자극, 사랑과 위로를 받지 못하면 어떤 형태로든 부분적으로 훼손된다고 강조한다.
0~2세의 아이들은 잘 먹고, 잘 자고, 잘 놀고, 잘 싸면 부모와 아이 둘 다 편안하게 하루를 보낸다. 이 시기에 아이의 욕구를 잘 읽어 주고 만족시켜 주는 엄마는 안정 애착 형성에 애를 먹지 않는다. 하지만 욕구 불만이 쌓인 아이들은 낮과 밤이 바뀐다든지, 먹고 자고 싸고 노는 데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울며 매달리고, 징징대고, 떼쓰고, 잘 안 먹고, 반응이 없고, 때리고 깨물고 할퀴고, 텔레비전이나 휴대폰에만 흥미를 보이고, 손가락을 빠는 등 여러 문제 행동을 보인다. 그 결과 아이를 낳은 지 4개월 되었는데 우울증에 걸릴 것 같다며 하루 빨리 복직하고 싶다는 엄마도 생기고, 아이의 버릇을 잡겠다며 40분 동안 울게 내버려두는 엄마도 생긴다.
발달의 적기성을 무시하면
문제 행동이 나타난다!
아이들은 시기마다 성취해야 하는 발달 과업이 있다. 예를 들면, 신뢰감 형성은 생후 12개월까지, 애착은 생후 18개월까지, 배변 습관은 36개월 전후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발달이 6개월 앞서거나 늦어져도 정상 범주에 속한다. 이때 부모와의 상호 작용이 적절하지 못해 발달 과업을 성취하지 못하면 그 이후에 이루어지는 발달 과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예를 들면 만 5세, 6세에도 아이가 대소변을 못 가린다며 상담을 오는 경우를 보면 발달의 적기성을 무시하고 생후 12개월부터 배변 훈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