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마르크스의 삶과 실천: 시대적 배경과 인간해방사상
1. 마르크스의 삶과 실천의 시대적 배경?2. 마르크스의 사상: 역사유물론과 인간해방사상
2장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분석: 고전파 정치경제학 비판
1.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 체계(이른바 ‘6부작 플랜’?2. 『자본론』의 전체 구성?3.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를 분석해 밝혀낸 주요 이론?4. 『자본론』 1권의 구성?5. 『자본론』 1권 「서문」에 나오는 『자본론』의 분석 방법
3장제8편 이른바 원시축적
1. 두 차례의 이행논쟁과 봉건제의 붕괴?2. 독립자영농과 소농 경영: 민부 시대?3. 제26장 「원시축적의 비밀」?4. 제27장 「농민들로부터 토지를 빼앗음」?5. 제28장 「프롤레타리아에 노동규율을 강제하는 입법」?6. 제29~31장 자본가계급의 탄생?7. 제32장 「자본주의적 축적의 역사적 경향」?8. 제33장 「근대적 식민이론」
4장제1편 상품과 화폐
1. 제1장 「상품」과 제2장 「교환과정」?2. 제3장 「화폐 또는 상품유통」
5장제2편 화폐가 자본으로 전환
1. 제4장 「자본의 일반공식」?2. 제5장 「자본의 일반공식의 모순」?3. 제6장 「노동력의 구매와 판매」
6장제3편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1. 제7장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2. 제8장 「불변자본과 가변자본」?3. 제9장 「잉여가치율」?4. 제10장 「노동일」
7장제4편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1. 제12장 「상대적 잉여가치의 개념」?2. 제13장 「협업」?3. 제14장 「분업과 매뉴팩처」?4. 제15장 「기계와 대공업」
8장제5편 절대적·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1. 제16장 「절대적·상대적 잉여가치」?2. 제17장 「노동력의 가격과 잉여가치의 양적 변동」?3. 제18장 「잉여가치율을 표시하는 여러 가지 공식」
9장제6편 임금
1. 제19장 「노동력의 가치(또는 가격가 임금으로 전환」?2. 제20장 「시간급」?3. 제21장 「성과급」?4. 제22장 「
▶ ‘경제적 논리’를 의심하라
자본주의는 당연하지 않다
자본주의를 벗어난 사회를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 너무 막연하다면 질문을 바꿔보자. 요새 화두인 성과연봉제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과정이 공정하다면 능력만큼 가져간다는 원칙 자체는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이제 거의 보편화된 주 5일 노동은 어떤가? 인간의 신체는 처음부터 일주일 중 5일을 일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었을까? 이 법칙을 어기면 놀고먹는 베짱이로 손가락질받는 것은 당연한가?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당연하게 여겨온 자본주의 사회의 여러 모습이 사실은 노동자와 자본가 사이 세력 다툼의 결과임을 과학적·역사적으로 증명한다. 이 책이 나온 지 150여 년이 흘렀지만 우리는 발간 당시보다 자본주의가 더 자연법칙처럼 받아들여지는 세계에서 살고 있다. 경제학 박사인 저자는 이렇듯 역류하는 역사적 흐름에 맞서려면 그 어느 때보다도 있는 그대로의 마르크스를 불러내는 일이 시급하다고 본다. 따라서 마르크스의 대표작인 『자본론』, 그중에서도 유일하게 마르크스가 직접 집필했고 그 사상이 핵심적으로 집약된 1권을 자본주의의 일대기를 그린 역사소설처럼 읽어보자고 권유한다.
▶ 당신의 월급은 당신 노동의 대가가 아니다
자본주의는 사회적 산물이다
『자본론』은 자본주의 사회의 운동법칙을 과학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독보적이다. 1권은 특히 자본주의 생산과정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그 과정에서 상품, 화폐, 잉여가치, 임금 등의 개념을 논리적·역사적으로 정리했다. 이를 통해 자본은 생산수단과 같은 물건이 아니라 그러한 물건을 매개로 형성된 사회적 관계라는 점을 밝혀냈고, 상품과 화폐에 대한 물신숭배 현상이나 자본가의 잉여노동 착취 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렇듯 현미경과 망원경을 모두 동원한 자본주의 분석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내재된 필연성에 의해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생물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고 변화하는 사회적 산물이다.
노동자라면 누구나 솔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