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서문
1장 사회적 맥락
1.1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 이론
1.2 슐체의 체험사회 이론
1.3 드보르와 스펙터클의 사회
2장 도시적 맥락
2.1 성장연합과 도시정치경제
2.2 새로운 도시성
체험공간과 축제화 / 도시의 문화: 상징의 경제 / 새로운 도시성의 예 함부르크 / ‘하펜시티’ 프로젝트
2.3 새로운 도시성의 영향들
2.4 공공성과 공공 공간
3장 공간이론과 도시 공간
3.1 앙리 르페브르
도시의 위기 / 공간 생산 / 도시에 대한 권리와 지식인들
3.2 피에르 부르디외
사회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 / 지배된 지배자인 지식인들
3.3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콘스탄트와 통일적 도시주의 / 상황주의적 공간
4장 공공미술
4.1 역사적 개요
공공 공간에서의 미술 / 공공 공간으로서의 미술 / 공적 관심의 미술
4.2 장소특수성 개념에 관하여
《기울어진 호》의 철거 / 새로운 공공미술 / 뉴욕의 배터리파크 /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
공공 공간으로서의 제도
4.3 공공 공간의 프로젝트들
아이제 에르크멘: ‘배에 탄 배들’ / 보헨클라우주어 / 파크 픽션
5장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출판사 서평
이 책은 공공미술의 역사와 그 토대가 되는 사회ㆍ문화, 도시ㆍ공간 이론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실례를 들어 설명한다.
모두를 위한 예술이란 무엇인가. 모두를 위한 예술은 가능한가.
새로운 패러다임의 공공미술은 더 이상 도시미화를 위해 공공 공간에 투입되거나 단순히 물리적으로 장소특수적 설치를 하는 것도 아니다. 그를 넘어서 공공 즉 모두를 위해 민주적으로 행해져야 하는 실천적인 성격을 본질로 삼는다. 그럼에도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이나 ‘커뮤니티 아트’마저 ‘도시발전의 유연한 입지 요건’으로 흐르기도 한다. 즉 해당 지...
이 책은 공공미술의 역사와 그 토대가 되는 사회ㆍ문화, 도시ㆍ공간 이론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실례를 들어 설명한다.
모두를 위한 예술이란 무엇인가. 모두를 위한 예술은 가능한가.
새로운 패러다임의 공공미술은 더 이상 도시미화를 위해 공공 공간에 투입되거나 단순히 물리적으로 장소특수적 설치를 하는 것도 아니다. 그를 넘어서 공공 즉 모두를 위해 민주적으로 행해져야 하는 실천적인 성격을 본질로 삼는다. 그럼에도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이나 ‘커뮤니티 아트’마저 ‘도시발전의 유연한 입지 요건’으로 흐르기도 한다. 즉 해당 지역의 성장수단이 되기도 한다. ‘모두를 위한 예술’이 더 이상 목적이 되지 않고, 미술이 그저 도시를 균질화시키거나 연출하기 위한 도구로 작용하기도 하는 현실을 저자는 ‘새로운 도시성’이란 개념을 도입하여 폭로한다.
도시라는 공공 공간에 대한 여러 이론들
제임슨에 따르면 공공 공간은 포스터모더니즘과 그의 지배 수단으로서 새로운 후기자본주의적 질서 맥락에서 기능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는 강력해진 격리 현상과 함께 문화적 생산에 대해서 비판적 거리를 상실하는 문화화 현상도 강력해진다. 슐체는 이와 관련해서 체험시장을 말하는데, 체험시장에서는 문화 영역이 무엇보다 체험지향적 수요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한다. 부르디외와 르페브르 같은 이론가들은 사회적 과정들에 직접 개입하기 위해 예술가,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