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1910-1945 도시계획으로 본 경성의 역사 | 식민지 수도는 어떻게 메트로폴리스가 되었나
저자 염복규
출판사 이데아
출판일 2016-11-30
정가 22,000원
ISBN 9791195650132
수량
목차
프롤로그·4
1장 제국의 문명, 도성을 해체하다
1 경성을 격자형 도시로 만들어라 17
조선총독부의 경성 도심부 공간구조 재편 구상
2 수도의 정비, 식민통치5 주년의 ‘치적’ 25
1910년대 전반 경?성시구개수 주요 노선의 부설 과정
3 식민지 권력의 ‘문명’, 식민자의 ‘사익’ 43
총독부 시구개수의 지향과 재경성 일본인 사익 추구의 충돌
2장 종묘관통선, 전통/근대/식민의 교차로
1 총독부, 종묘를 헐어 길을 내려고 하다 53
종묘관통선의 최초 부설 시도와 갈등
2 10년의 공사, 10년의 갈등 66
순종의 사망과 종묘관통선의 ‘완성’
3 ‘종묘의 존엄’인가, 시민의 ‘편의’인가 78
종묘관통선을 바라보는 조선어 언론의 다면적 시각
3장 도시계획을 둘러싼 갈등과 ‘정치’
1 ‘경성 도시계획’, 새로운 갈등의 시작 89
1920년대 경성 도시계획 논의와 시구개수 이관 문제
2 ‘친일파’가 ‘조선인’을 대변하는 역설 96
경성부의 수익세 제정 시도와 찬반 논란
3 갈등의 봉합, 식민통치의 임계 108
경성부의 시구개수안 조정과 시구개수 이관
4장 ‘대경성’ 마스터플랜의 형성
1 마침내 ‘대경성’이 되다 119
경성부 행정구역 확장 논의의 전개와 귀결
2 용도별 구획과 계층별 위계의 형성 133
경성시가지계획의 기본 구상
3 경성, 근대 도시의 ‘내실’을 갖추다 137
가로망, 토지구획정리, 지역제의 세부 계획안
* ‘도시’ 계획령에서 ‘시가지’ 계획령으로
5장 전쟁이 이끌어낸 도시계획, 전쟁에 가로막히다
1 재정난, 자재난, 인력난의 악순환 181
가로망 부설 사업의 지연과 동원의 한계
2 외곽 공업지역과 주거지역 개발 192
토지구획정리의 전개과정과 ‘개발’ 양상
3 폭격에 대비하여 공지를 확보하라 217
‘방공’ 논의와 공원계획·풍치지구 지정
* 청계천, 식민과 근대를 가로질러 흐르다
6장 도시 유토
출판사 서평
식민지 수도 경성은 어떻게 서울을 잉태했는가?
경성은 일본이 도입한 서구의 도시, 한국적 근대의 한 단면
지금 우리가 딛고 있는 서울, 엄밀히 말하면 ‘현대 서울’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놀랍게도 현대 서울은 식민지 시기 경성의 청사진(blue print과 겹쳐진다. 물론 많은 변화가 있어왔지만 기본 골격과 변화의 방향은 해방 이전, 1910년에서 1945년 동안 설계되어온 바탕에서 기원한다. 당연히 설계자들은 ‘우리’가 아닌 ‘일본 제국’이었다. 그렇다면 일제는 경성을 어떻게 만들고자 했을까? 나아가 해방 이후 우리는...
식민지 수도 경성은 어떻게 서울을 잉태했는가?
경성은 일본이 도입한 서구의 도시, 한국적 근대의 한 단면
지금 우리가 딛고 있는 서울, 엄밀히 말하면 ‘현대 서울’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놀랍게도 현대 서울은 식민지 시기 경성의 청사진(blue print과 겹쳐진다. 물론 많은 변화가 있어왔지만 기본 골격과 변화의 방향은 해방 이전, 1910년에서 1945년 동안 설계되어온 바탕에서 기원한다. 당연히 설계자들은 ‘우리’가 아닌 ‘일본 제국’이었다. 그렇다면 일제는 경성을 어떻게 만들고자 했을까? 나아가 해방 이후 우리는 식민지 수도 경성에서 벗어나, 혹은 극복하면서 어떻게 현대 서울로 변화시켜 왔을까?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은 책 제목에서 은유하듯이 1910년 병합부터 시작된 식민지 수도 ‘경성의 탄생’과 도시 개발의 과정을 통해 지금에 이르는 현대 ‘서울의 기원’을 풀어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질문들과 만나면서 자연스레 과거의 경성과 현대의 서울을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 경성의 도시 개발은 제국의 문명이었다?
● 왜 을지로 개발을 둘러싸고 일본인들이 반대했을까?
● 조선인들은 왜 조선 황실의 존엄이 아닌 도로의 편의를 선택했을까?
● 경성 도시 개발을 둘러싸고 친일파는 왜 조선인을 대변했을까?
● 일제는 왜 청계천을 복개하려 했을까?
● 해방 이전 ‘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