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11
서론 15
제1부 식민지 경험과 한국기독교
1. 한국기독교의 제도화
조선총독부의 선교사 회유정책 30
조선총독부의 법인설립 허가 33
제도적 기독교로의 재편 36
신사참배의 자발성 39
2. 침략전쟁을 지원하다
전쟁을 지지하기 시작하다 46
군수자원이 된 기독교 50
전쟁 협력의 내적 논리 56
일제의 구약성서 말살정책 60
평화를 고백하기 63
3. 반민특위와 한국기독교
해방정국의 친일 청산 논의 66
친일파 처단의 제도화 70
‘교회 보호’라는 논리 75
이승만의 4·15담화 79
반민특위의 와해 82
인적 청산에서 체제 청산으로 84
4. 미완의 과거사 청산이 불러온 비극들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 금서사건(1958 88
독립운동가로 변신한 친일목사(1977 94
정춘수 목사 동상 철거 사건(1996 99
제2부 한국기독교의 왜곡된 정치 참여
5. 민간인 학살에 가담한 기독교인들
테러단체 서북청년회와 기독교 110
목사가 된 테러대장 114
그들의 아버지를 죽인 ‘예수쟁이’ 116
백두산 호랑이 김종원 121
백두산 호랑이, 예수를 믿다 124
무한 유통되는 천박한 회개 신학 128
6. 부정선거에 협력한 한국기독교
경무대에 찬송가 울리게 하자 134
이승만 대통령의 삼선을 위한 노력 136
“우리나라를 바티칸에 팔아먹을 것이다” 140
이승만 정권의 천주교 탄압 145
3·15부정선거와 반천주교운동 148
7. 로마서 13장의 정치학
식민지 시절의 로마서 13장 157
기독교 건국론과 로마서 13장 164
박정희 정권에 대한 한국기독교의 지지 166
로마서 13장을 둘러싼 갈등과 논쟁 174
저항의 근거가 되는 로마서 13장 180
8. 한국기독교의 반공주의운동사
사회주의와의 조우 183
해방 후 반탁운동의 참여 187
북진통일론과 휴전반대운동 190
반공주의의 내면화 193
WCC를 둘러싼 용공논쟁 197
문화냉전: 반공 서적의 편찬 201
출판사 서평
한국개신교는 폭력과 주류 문화를 어떻게 내재화 했나
실증적인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개독교’ 탄생의 역사
그동안 한국기독교의 과거사 청산 문제를 다룬 글은 적지 않았으나 엄밀하고 실증적?인 검토는 매우 부족했다. 이 책은 한국기독교의 식민지 경험, 한국전쟁, 냉전, 군사독재, 산업화 등의 근현대사 흐름 속에서 한국기독교가 타협했던 역사적 과오를 추적한다. 호교론적 한국기독교사 서술의 한계를 지적하고 대항기억을 재생하기 위한 비판적 논점을 제시한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나눌 수 있는데, 제1부는 ‘식민지 경험과 기독...
한국개신교는 폭력과 주류 문화를 어떻게 내재화 했나
실증적인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개독교’ 탄생의 역사
그동안 한국기독교의 과거사 청산 문제를 다룬 글은 적지 않았으나 엄밀하고 실증적인 검토는 매우 부족했다. 이 책은 한국기독교의 식민지 경험, 한국전쟁, 냉전, 군사독재, 산업화 등의 근현대사 흐름 속에서 한국기독교가 타협했던 역사적 과오를 추적한다. 호교론적 한국기독교사 서술의 한계를 지적하고 대항기억을 재생하기 위한 비판적 논점을 제시한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나눌 수 있는데, 제1부는 ‘식민지 경험과 기독교’라는 주제로 한국기독교가 제도화의 길을 걷게 된 점, 침략전쟁을 지원하게 된 점, 교회의 생존과 보호라는 논리로 친권력을 내재화 한 점 등을 다루고 있다. 제2부는 ‘한국기독교의 왜곡된 정치 참여’라는 주제로 민간인 학살에 기독교가 가담한 일, 부정선거에 개입한 일, 반공주의를 내면화 한 일 등을 다룬다. 제3부는 ‘한국기독교의 사회적 추문’이라는 주제 하에 부동산에 저당잡힌 기독교의 민낯과 무례한 기독교의 태도, 친자본주의를 내재화한 역사를 다룬다.
이 책은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과거 한국기독교의 ‘흑역사’를 12가지 양상으로 분류하여 소개하고 있다. ‘흑역사’ 진술은 단지 비판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기독교 왜곡의 원인과 현주소를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체질 개선을 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