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_ 다르마를 찾아가는 여정의 고뇌와 환희
제1장―불교 정치철학 탐구를 위한 첫 디딤돌
1. 종교와 정치의 관계
2. 진속이제와 불교 정치철학의 관계
3. 정의론의 특징과 전망에 대한 인식
4. 이데올로기의 이해와 분석의 필요성
5. 복합체계 이론과 체계윤리의 이해
제2장―이데올로기와 종교 그리고 불교
1.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2. 믿음의 유형과 불교의 신앙 체계
제3장―불교 정치철학의 체계화
1. 현실에 대한 상황 규정
2. 지향 가치와 이상사회
3. 실천 방법과 전략
제4장―현대 정치 이념의 불교적 성찰
1. 자유주의: 대자유인의 길과 자비행
2. 민주주의: 붓다의 공화사상과 칠불쇠법
3. 자본주의: 불교 경제윤리의 구현
4. 사회주의: 자유의 평등화와 중도의 길
5. 민족주의: 민족주의를 뛰어넘는 민족주의의 길
6. 파시즘: 집단과 독선의 신화를 넘어
7. 공동체주의: 상생적 윤리와 자기조직화
8. 페미니즘: 불교는 페미니즘이다
9. 녹색주의: 연기의 생명 패러다임
10. 아나키즘: 아나키스트 붓다
제5장―한국불교의 정치철학적 과제
1. 민주적 정의 공동체 지향 : 전륜성왕의 꿈
2. 이념적 화쟁과 통일 미래상의 좌표 제시
3. 불평등 문제와 자비 공동체 구현
부록
1. 아나키즘의 불교적 해석
2. 소천, 금강반야의 길을 걸어간 실천적 사상가
종교와 정치, 정의론과 복합체계이론
다섯 개의 장과 부록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제1장은 [붓다 정치철학 탐구를 위한 첫 디딤돌]로서 붓다의 정치철학을 탐구하기 위한 예비적 성찰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종교와 정치의 관계’는 역사적 경험, 정교분리의 등장 배경, 한국사회에서의 종교와 정치의 관계 등을 다루면서 그 문제점을 거론하고 있다. 다음으로 ‘정의론의 특징과 전망에 대한 인식’을 강조한다. 정의는 자유와 평화의 문제와 함께 인간 삶의 영역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오랜 역사에 걸쳐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정의론에 대한 포괄적 이해가 붓다 정치철학을 탐구하는 데 필수적이라 하겠다. 또한 ‘이데올로기에 대한 이해와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정치철학은 구체적으로 정치이념, 즉 이데올로기로 표현되고 실천된다. 종교와 이데올로기는 구조와 기능 면에서 일란성 쌍둥이처럼 매우 닮았다. 그리고 저자는 붓다의 가르침을 현대적 용어로 푸는 데는 복합체계이론이 매우 유효하다고 주장한다. 복합체계이론은 붓다의 연기법을 현대의 과학적 용어로 표현한 것이라고 본다.
이데올로기의 구조와 불교의 신앙체계
제2장은 [이데올로기와 종교 그리고 불교]로서 ‘이데올로기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와 ‘믿음의 유형과 불교 신앙체계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데올로기는 ‘현실에 대한 상황 규정’ ‘지향가치의 제시’ 그리고 ‘실천방안과 전략’ 등 세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교의 신앙체계의 특징은 과연 무엇인가. 기독교가 절대주의적 입장이라면 불교는 상대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연기의 법칙은 상대성의 원리이다. 붓다는 이 원리 위에 불교라고 일컬어지는 사상과 실천의 전 체계를 구축했다. 중도의 사상도 연기법에 의해 이루어진 실천의 원리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불교 교리 자체는 이데올로기의 신념체계와 크게 다르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상사회 구현, 팔정도
제3장은 [불교 정치철학의 체계화]로서 ‘현실에 대한 상황규정’ ‘지향가치와 이상사회’ 그리고 ‘실천 방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