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가 낭만에 취한 시대,
청년 칼 슈미트의 통렬한 비판을 다시 읽는다
오늘날의 한국을 생각해 보자. 교회는 불법 정치 집회로, 정치는 개인 방송의 불쏘시개로, 종교는 갖은 음모론의 출처로 소비되고 마는 현실을. 너도나도 “진짜”를 자처하는 모습은 애석하게도 “진짜”가 드문 시대임을 방증한다. “진짜”의 빈자리를 슬몃 차지한 숭앙과 혐오는, 동전의 양면으로 들붙어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사잇길로 굴러다닌다.
여기, 작금의 사태를 미리 내다본 사람이 있다. 『정치적 낭만주의』의 저자, 칼 슈미트는 “교회가 극장으로 대체되고, 종교적인 것이 연극이나 오페라의 소재 따위로 취급되며, 성당이 마치 박물관처럼 여겨지던 당시 세태”를 아프게 꼬집는다. 무려 100년 전의 진단이다. 어째서 이 오래된 진단에서 21세기 한국의 오늘이 보이는 걸까. 만약 슈미트가 오늘날 한국인들의 소통 양태를 본다면, 과연 무어라 말을 할까. 아마도 그는 이렇게 탄식하지 않았을까?
‘한국인들은 쉽고 편한 몇 마디 말로 가볍게 서로의 인격을 짓밟아 버린다. 그래서 그들은 가장 중요한 문제, 즉 정치를 수렁에 빠뜨리고 있다.’
매일 매순간 우리는 목격한다. 미문이 비판을 밀어내고, 미사여구가 촌철살인을 지워내며, 감정적 편 가르기가 합리적 판단의 숨통을 조이는 장면들을. 슈미트가 100년 전 유럽을 묘사한 문장은 오늘의 한국, 나아가 세계 전체에 실로 적확하게 들어와 꽂힌다.
“이 세계는 실체 없는 세계, 확고한 지도 체계가 부재한 세계, 결론도 정의도 결정도 최종 판결도 모른 채 우연이라는 마법의 손길에 이끌려 끝없이 방황하는 세계다.”
『정치적 낭만주의』는 이제 막 법학자로서 활동을 개시한 슈미트가 처음으로 세상에 내놓은 본격 정치·역사 비평서다. 그가 이 책을 구상하고 집필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참상과 부조리를 온몸으로 겪어 낸 직후였다. 다다이즘을 대표하는 시인 후고 발Hugo Ball은 『정치적 낭만주의』를 두고 “칼 슈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