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공공외교란 무엇인가?
1장공공외교의 정의
2장공공외교의 역사
3장공공외교의 이론
2부 공공외교와 문화, 언어, 교육
4장문화 공공외교 1
5장문화 공공외교 2
6장언어 및 교육·학술 공공외교
3부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
7장미디어 공공외교
8장브랜딩 공공외교
9장전략적 커뮤니케이션과 공공외교
4부 공공외교와 국제정치
10장공공외교와 안보
11장공공외교와 개발
12장공공외교와 통일
5부 공공외교의 새로운 영역
13장기업과 공공외교
14장지방정부와 공공외교
책은 모두 4부 1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공공외교란 무엇인가?’에서는 공공외교의 정의에서부터 그 역사와 공공외교의 이론까지 전반을 검토한다. 1장 「공공외교의 정의」에서는 정치학적 접근과 커뮤니케이션적 접근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그 정의를 살펴보고, 공공외교의 진화 과정과 주체 및 유형을 알아본다. 2장 「공공외교의 역사」에서는 냉전시대, 탈냉전시대를 거쳐 현재의 G2 시대로 변천되어 온 공공외교 모습을 살펴보았다. 3장 「공공외교의 이론」에서는 경성권력 대 연성권력, 문민권력 대 규범권력, 투사형 대 주창형 공공외교라는 세 개의 소주제를 통해 공공외교의 이론적 논의를 담았다.
2부 ‘공공외교와 문화’에서는 문화 공공외교와 언어 및 교육·학술 공공외교를 살펴본다. 4장 「문화 공공외교 1」과 5장 「문화 공공외교 2」에서는 문화 공공외교의 개념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문화 공공외교, 국가별 문화정책과 공공외교의 관계를 서술했다. 6장 「언어 및 교육·학술 공공외교」에서는 언어와 교육 및 학술이 공공외교에서 어떻게 쓰이며, 그 주된 내용은 무엇인지를 논의했다.
3부 ‘공공외교와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공공외교에서 공중을 대상으로 어떤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이루어지는지 다뤘다. 7장 「미디어 공공외교」에서는 각종 매체와 국제방송 및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공공외교를, 8장 「브랜딩 공공외교」는 국가 브랜딩과 도시 브랜딩의 사례 및 관광 브랜드와 공공외교에 대해 알아본다. 9장 「전략적 커뮤니케이션과 공공외교」에서는 공공외교와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그리고 공공외교의 외주화를 알아보았다.
4부 ‘공공외교와 국제정치’는 10장 「공공외교와 안보」에서 군사 공공외교의 정의와 재난 구호 및 우호 증진을 위한 비전투적 목적의 해외파병을 살펴보고, 11장 「공공외교와 개발」에서는 국제개발협력의 정의와 동기, 목표 그리고 공공외교 성격의 개발협력을 다루었다. 특히 12장 「공공외교와 통일」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을 기반으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