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한국 노동시장의 해부 : 도시 하층과 비정규직 노동의 역사 -트랜스 소시올로지 27
저자 요코타 노부코
출판사 (주그린비출판사
출판일 2020-09-10
정가 23,000원
ISBN 9788976826343
수량
서장 문제의식과 분석 시각 5
1. 문제의식 5
2. 본서의 구성과 분석 시각 8

제1장·개발연대에서 도시 하층의 형성과 노동시장 23
1. 문제 제기 23
2. 농촌에서의 인구 유출과 도시 하층의 형성 29
3. 도시 무허가 정착지 내부 구성의 변화 35
4. 공장 노동자의 존재 형태 49
5. 개발연대의 노동시장 구조와 노동 통제 59

제2장·노동자대투쟁과 ‘87년 체제’의 성립 67
1. 문제 제기 67
2. 1980년대 노동력 부족 상황과 대기업에서의 노동력 기업 내
양성의 시작 72
3. 기업에의 노동력 정착성 격차와 노동력 이동 83
4. 임금 격차와 임금 체계 100
5. ‘분단 노동시장 체제’로서의 ‘87년 체제’의 성립 112

제3장·‘신경영전략’의 전개와 ‘87년 체제’의 변화 117
1. 문제 제기 117
2. 노동자대투쟁에서 IMF 경제위기까지 고용 상황과 취업 구조 변화 122
3. 노동자대투쟁에서 IMF 경제위기까지 제조업 남성 생산 노동자의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 132
4. 대기업에서의 ‘신경영전략’의 전개와 내부 노동시장 구조의 심화 144
5. ‘87년 체제’ 아래에서 ‘분단 노동시장 체제’의 변화 162

제4장 ·IMF 경제위기 이후의 생산 체제와 ‘내부 노동시장 체제’의 변화 171
1. 문제 제기 171
2. 1990년대 이후 노동의 비정규직화와 취업 구조 변화 177
3. 노동시장의 규제 완화 정책과 기업의 구조조정 190
4. 생산 체제와 노동력 구조의 변화 202
5. ‘중핵 노동자’의 비정규직화와 ‘내부 노동시장 체제’의 위축 231

제5장·젠더 시점에서 본 한국 노동의 비정규직화 239
1. 문제 제기 239
2. 한국에서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특징 245
3. 한국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공식성’과 젠더 구조 254
4. 한국 노동자 가족의 생활 구조 276
5. 한국의 비정규직 노동자 조
대기업 노동자와 중소기업 노동자,
한국의 노동시장은 왜 둘로 갈라졌을까?

♣ 민주화 이전의 노동시장은 어땠을까?
1장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초에 걸쳐 대량 이농민에 의해 형성된 ‘도시 무허가 정착지’의 취업자들이 도시 비공식 부문과 공식 부문 사이를 어떻게 오갔는지 설명하며, 도시 하층의 형성 과정과 개발시대의 노동시장 구조를 밝힌다. 또한 이러한 도시 하층민과 대기업 생산 노동자의 제휴 관계를 제시한다. 이에 따라 6·29 민주화선언 이전의 한국의 노동시장이 다른 개발도상국의 분단 노동시장과 달리 횡단적이고 단일한 노동시장이었음을 실증한다.

♣ 분단국가의 분단노동시장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2장에서는 1987년 노동자대투쟁을 계기로 한국의 노동시장이 단일 노동시장에서 대기업 노동자와 중소기업 노동자의 격차가 벌어진 분단 노동시장으로 변화한 이유에 대해 분석한다. 87년 이후 한국 노동시장이 분단 노동시장으로 변화했다는 것은 정설로 자리 잡았지만, 그 형성 과정이나 배경에 대해 논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한국의 분단 노동시장은 80년대 초반에 대기업을 중심으로 노동력의 기업 내 양성이 시작된 것에 원인을 둔다. 호황에 따른 노동력 부족이 심화됨에 따라 대기업은 미숙련 청년 노동자를 기업에 정착시키기 위해 노동 조건을 개선하며 숙련 노동자 양성에 착수했다. 따라서 대기업의 생산직 노동자 중에서도 근속 10년 이상의 중견 노동자가 증가했고, 그들을 중심으로 기업 내부 노동시장이 형성되었다. 그들의 주도로 기업 내 노동조합이 조직된 것이며 이 흐름이 87년 노동자대투쟁으로 연결되어 권위주의적 노동체제를 붕괴시킨 것이다. 한편, 중소기업의 경우 70년대와 마찬가지로 노동자들이 빈번한 노동 이동을 반복하는 단일 노동시장의 형태였다.

♣ 87년 체제에서 오히려 증가한 비정규직
3장에서는 1990년대에 기업 주도로 추진된 경영 합리화와 노사관계의 개혁 운동인 ‘신경영전략’을 통해 87년 체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추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