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1장 대중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새 떼의 공격 | 지하철의 역에서 | 대중과 대중 의식 | 파리는 깨어난다 |
국민들에게 도전받는 국가 | 대중 속의 개인들
2장 대중은 어떤 원리로 움직이는가?
르봉과 집단 최면 상태 | 프로이트의 대중심리학: 최면 상태와 리비도 | 권력자에 대한 대중의 유대라는 프로이트의 개념에 관하여 | ‘내면의 대중’, 몸소 겪는 대중체험 | 대중을 이루는 새로운 우리들 | 방법의 문제들
3장 이중 대중
우리와 그들, 경계 설정을 통한 안정화 | 그들인가 우리들인가, 투쟁적인 면과 모방 경쟁 | 누가 우리 편인가? | 질서 대 혼란, 〈메트로폴리스〉와 〈M: 한 도시가 살인범을 추적하다〉 | 혼란 대 질서, ‘검은 복면단’의 신화 | 이중 대중의 모방적 구조
4장 포퓰리즘
사진의 정치, 위험의 수사적 효과 | 포퓰리즘에서 말하는 ‘우리들’과 그 적들 | ‘진짜 국민’과 대의제도의 파괴 | 새로운 중도, 새로운 주변부와 가혹한 손길 | 기득권층과 국외자들 | “사랑을 실천하는 대중들”
5장 대중과 공간
역사적 공간 쟁탈전 | 정치적인 것의 출현 공간 | 신성한 공간과 범속한 것의 침입 | 보편성에 대한 권리: 오르테가 이 가세트와 대중 관광 | 집단 참사
6장 에로스와 고립, 대도시 대중의 묘사
위로부터의 시각: 사촌의 구석 창문 | 측면에서의 시각: 군중 속의 남자 |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에로스의 부재 | 중심에서의 시각: 다자와 일인
7장 가상의 대중들
매스미디어 1: 영화 | 매스미디어 2: 인터넷 | 복수의 여론 | 소셜 미디어: 대중과 독자층
8장 대중문화 비평
대중 현상으로서의 개인주의 | 세인 | ‘노동자’ | 한스 아이슬러: 예술 가곡과 전투가 | 대중 개념의 변형들: 무리, 거품, 다중
9장 대중의 구조
대중과 하층민 | 오늘날의 대중의 환경 | 정서적 공감 | 열광적 대중 1: 축구 팬과 과격 집단 | 열광적 대중 2: 테러와 죽음
자아를 잃지 않는 대중의 탄생
르봉을 비롯한 과거 이론가들은 군중의 개성이 상실되어 그 의사가 권력자의 의도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상황을 우려했다. 20세기 공산주의나 나치즘은 군중심리가 어떤 비극을 낳는지 잘 보여주었다. 그렇다면 자발성을 갖춘 대중이라는 개념은 언제 탄생했을까? 이 책에서는 그 태동기로 대중들이 사회 순응적인 태도를 거부하기 시작한 유럽의 1960년대를 꼽는다. 보통선거가 자리 잡고 미디어와 개인에게 언론의 자유, 사상과 집회의 자유가 보장되면서 새로운 대중이 탄생했다는 것이다. 68년 5월 파리에서는 대학가를 중심으로 저항 운동이 일어났다. 이어 정부가 휴교령을 내리자 이에 반발해 가두시위가 일어났고 전국적으로 학생들이 학교를 점거했다. 시위는 대학의 문턱을 넘어서 노동조합들까지 총파업에 나섰고, 운동의 방향도 전면적인 사회개혁으로 확대되었다. 비록 운동은 실패로 끝났지만 대학과 사업장의 구성원들은 잠시나마 자율적인 조직 운영과 제도 구상에 대한 꿈을 꾸었다.
1989년 독일에서는 대중들의 열망이 실현되었다. 라이프치히에서 시작된 가두시위가 정부의 존립을 위협할 정도로 불어났고, 동독 정부의 실수와 대중들의 열망이 어우러져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렸다. 그로부터 1년이 채 되기 전에 독일은 다시 하나가 되었다. 여행 자유를 위해 법을 개정하도록 정부를 압박하고 결국 체제를 무너뜨린 주체는 대중들이었다.
저자들은 새로운 대중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대중의 구성원으로 행동하면서도 자아를 상실하지 않는다는 점을 든다. 베를린, 파리, 라이프치히 그리고 2016년 서울의 시위 참가자들은 “그것은 나의 사건이기도 했다”고 이야기하며 오히려 자아의 강화를 체험했다. 이들은 자신이 참여한 사건에서 일체감과 집단의 위력을 느끼고 이 강렬한 경험을 개인 정체성의 구성요소로 간직하게 된다.
인터넷과 SNS, 나누어진 개별 대중
새롭게 탄생한 대중은 인터넷과 뉴미디어를 맞아 변화를 맞이했다. 이 시대 대중의 가장 큰 특징은 취향이나 정치적 이념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