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성 이론은 왜 중요한가
복잡성 적응체계는 ‘비선형적이고, 일정한 경계가 있으며, 동반상승작용 하는 개별적인 구성인자들의 네트워크화 된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개체들은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고 주어진 장단을 맞춰가면서 나름의 정체성과 역량을 만들어 간다. 이와 동시에 주변과는 일련의 관계를 맺는다. 이 2가지가 연동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복잡성 적응체계는 ‘적절하게 네트워크화 된 집합체’라 할 수 있다. 또한 ‘만약 … 한다면’ 식의 단순한 명제를 가지고 예측 가능한 외부 자극에 단순하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복잡성 적응체계는 ‘비선형적’이다. 예를 들어, 복잡성 체계가 아닌 곳에서 ‘만약 내가 차에 연료를 공급한다면, 그 차는 더 멀리 갈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대조적으로, 복잡성 체계는 ‘만약 내가 인간과 같은 복잡성을 띠는 실체에 연료를 공급한다면, 그(녀는 더 멀리 운전할 수도 있고, 잔디를 깎을 수도 있으며, 팔아 치우든지, 갖다 버리든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 다른 일을 할 수도 있다.’라고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복잡성 이론에 관한 어떠한 연구에서도 교실환경을 다룬 적이 없었다. 설령 그랬다 할지라도 그때의 연구대상은 항상 교사나 공동교사나 보조교사들뿐이었다. 이 책 2장에 실려 있는 실증 사례인 캐나다의 고등학교 교실 사례가 유일하다(Sinclair, 2004. 또한 유일하게 고등학생을 관찰했던 연구는 주로 교육과정의 선택과 이와 연계된 성과에 대해 다루었던 것이다(Polite, 1994. 사립학교 학생을 연구한 문건은 어디에도 없다. 그리고 유치원에서 12학년까지의 학급이나 교원 양성의 관점에서 특정 주제를 다룬 연구들은 전적으로 수학 학습과 관련된 것들뿐이다. 이 연구는 비록 미시적이지만, 복잡성 교육 연구의 기반을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래서 가톨릭계 사립 중 ?고등학교나 수학 이외의 음악과 영어와 같은 과목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