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혼돈의 도미노’에 허덕이는 ‘아랍의 심장’_아오야마 히로유키
제1장 이집트: 두 가지 ‘혁명’이 불러온 허상의 재고_요코타 다카유키
1. 시작하며: 두 가지 혁명
2. 1월 25일 혁명: 권위주의 체제의 붕괴
3. 군에 의한 잠정통치의 주요 정치 주체: 변화하는 주역
4. ‘제2의 혁명’인가, ‘혁명’이라는 이름의 쿠데타인가?
5. 마치며: ‘혁명’은 이집트에 무엇을 가져왔는가?
제2장 시리아: ‘진짜 전쟁 상태’가 필요한 ‘독재 정권’_다카오카 유타카
1. 시작하며: 아사드 대통령의 3선
2. ‘중동의 활단층’의 이용 가치
3. ‘내전’에서 ‘진짜 전쟁 상태’로: 화학무기 사용 사건을 둘러싼 패러다임 전환
4. ‘21세기 최악의 인도적 위기’의 허상과 실상: ISIS와 ‘테러와의 전쟁’의 파탄
5. 마치며: 허상을 넘어서
제3장 이라크: 민주화의 차질과 종파 대립이라는 망령_야마오 다이
1. 시작하며: 폭력이 불러온 종파 대립
2. 모술 함락
3. ‘인공 국가’와 권위주의 체제
4. 민주주의의 교착과 격화되는 정치 대립
5. 국가 건설의 실상
6. 마치며: 허상은 실체화되는가?
제4장 레바논: ‘결정하지 않는 정치’가 지탱하는 연약한 자유와 평화_스에치카 고타
1. 시작하며: 레바논의 자유와 평화의 성립을 생각한다
2. 종파제도의 빛과 그림자
3. 레바논의 ‘백향목 혁명’과 그 후 차질을 빚은 민주화
4. 내전 재발을 피하기 위한 ‘합의’
5. 마치며: 자유와 평화의 균형점 찾기
제5장요르단: 분쟁의 피해자인가 수혜자인가_깃카와 다쿠로
1. 시작하며: 쓰러지지 않는 국가
2. 요르단의 ‘위기’를 둘러싼 허상
3. 역사와 사회: 위기에 강한 국가의 형성
4. 실상으로의 접근
5. 마치며: 실리적인 완충 국가의 딜레마
제6장팔레스타인: 하마스에 대한 부정이 일으킨 정치적 혼란_니시키다 아이코
1. 시작하며: 반복되는 폭력을 이해하기 위하여
2.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과 정치 구도
출판사 서평
‘아랍의 심장’은 어디인가?
아랍 세계의 어느 곳이 ‘아랍의 심장’인지 명확히 정의할 수 없으며, 그 지역 또한 모호하다. ‘아랍의 심장’은 ‘아랍의 맹주’를 자인하는 하나의 국가만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아랍 세계를 구성하는 지리적 하위 구분인 동아랍 지역, 걸프 지역, 나일 강 유역, 마그레브 지역 중 그 어디와도 정확하게 합치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책에서는 근현대 시기에 중동의 정치·사회·문화를 견인해왔던 이집트와 동아랍 지역을 ‘아랍의 심장’으로 규정해 논의를 전개한다.
‘아랍의 봄’은 과연 이 지역에 ‘민주화...
‘아랍의 심장’은 어디인가?
아랍 세계의 어느 곳이 ‘아랍의 심장’인지 명확히 정의할 수 없으며, 그 지역 또한 모호하다. ‘아랍의 심장’은 ‘아랍의 맹주’를 자인하는 하나의 국가만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아랍 세계를 구성하는 지리적 하위 구분인 동아랍 지역, 걸프 지역, 나일 강 유역, 마그레브 지역 중 그 어디와도 정확하게 합치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책에서는 근현대 시기에 중동의 정치·사회·문화를 견인해왔던 이집트와 동아랍 지역을 ‘아랍의 심장’으로 규정해 논의를 전개한다.
‘아랍의 봄’은 과연 이 지역에 ‘민주화’를 가져왔는가?
근현대사에서 중동의 ‘지혜’를 체현해온 ‘아랍의 심장’은 팔레스타인 문제나 이라크 문제로 서서히 피폐해지고 있다. 또한 2010년 말부터 분위기가 고조되어 2011년 1월 튀니지에서 일어난 정변을 발단으로 아랍을 휩쓴 ‘아랍의 봄’은 이 지역에 자유와 민주주의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렇지만 이런 낙관적인 전망과 달리 ‘아랍의 봄’ 이후 이 지역에서는 ‘분쟁의 도미노’, ‘혼돈의 도미노’가 고착되었다.
·이집트
‘아랍의 봄’의 선구적인 성공 사례로 간주되는 이집트에서는 ‘1월 25일 혁명’ 이후 민주적인 선거로 선출된 무슬림형제단의 무르시 정권이 민중의 항의 시위와 군사정변으로 붕괴되었다. 이집트 국민들에게 ‘6월 30일 혁명’으로 불리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