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WHY 원자력이 필요한가 : 환경주의 생물학자가 바라본
저자 마이클 H. 폭스
출판사 도서출판 글마당
출판일 2020-05-26
정가 19,800원
ISBN 9791190244091
수량
한국어판 서문/ 추천사/ 감사의 글/ 서문

PART 01 지구온난화 및 에너지 생산
제1장 지구 기후변화: 사실인가, 허구인가?
무엇에 관한 논쟁인가?/ 지구온도와 온실가스/ 온도와 이산화탄소의 최근 변화/ 빙하의 용융과 해수면 상승/ 온도 계산 모델들/ 싱어와 에버리에 대한 답변/ 미래의 지구온난화 및 그 영향에 대한 예측
제2장 에너지: 어디에서 가져왔나?
에너지의 간략한 역사/ 우리는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이들을 어디서 구하는가?
세계 에너지 사용량/ 탄소 중심의 에너지 경제를 줄이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제3장 석탄과 천연가스: 좋고, 나쁘고, 추한
석탄/ 천연가스
제4장 재생 에너지: 사이렌의 유혹
태양광/ 풍력
제5장 원자력: 미래로 되돌아가기
원자로 알아보기/ 원자력 발전의 장점:/ 선진 원자로 기술/ 원자력이 석탄을 대체할 수 있을까?/ 원자력 반대 주장들

PART 02 방사선 및 생물학적 효과
제6장 원자: 과학이 밝혀낸 미지의 세계
방사선이란 무엇인가?/ 흑체복사: 양자/ 핵이 있는 원자 모델/ 양자론적 원자 모델/ 원자핵/ 방사능: 붕괴과정/ 핵분열
제7장 방사선: 정말 두려운가?
방사선과 물질의 상호작용/ 방사선 선량은 무엇인가?/ DNA와 세포에 미치는 방사선의 영향
위험은 무엇인가?/ 플루토늄은 얼마나 위험한가?
제8장 일상의 방사선: 늘 함께 살아가는
자연배경방사선/ 의료 피폭/ 배경방사선은 얼마나 위험할까?

PART 03 원자력의 위험
제9장 핵폐기물: 이미 정답은 있다
핵폐기물이란?/ 장기 및 단기 폐기물 저장/ 유카산/ 윕 처분장/사용후핵연료의 재활용/ ‘핵폐기물’ 재활용하여 새 연료 제작
제10장 원자력 사고들: 그 진실은?
공포, 1979년 3월 16일/ 쓰리마일 아일랜드, 1979년 3월 28일/ 체르노빌, 1986년 4월 26일/ 후쿠시마, 2011년 3월 11일
제11장 우라늄: 충분한가
우라늄 채광/ 분쇄/ 현장회수법/ 농축/ 연료 제조
“저자는 미 콜로라도대학의 환경 및 방사선보건학과 교수로 평생 봉직해 왔다. 이 학과는 미국에서 가장 큰 환경 보건 프로그램 중 하나로 방사선 보건을 핵심 커리큘럼에 포함시킨 본산이기도 하다. 또 폭스 교수는 아름다운 로키산맥 기슭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자택에 살고 있는 재생에너지를 선호하는 환경주의자이면서도 한 국가의 산업이 제대로 지탱되려면 원전이 필요하다고 강력하게 주장하는 분이다.”
- 추천사중에서/ 한갑수(국회의원, 환경부 차관, 농림부 장관, 한국산업경제연구원원장 역임

“지난 3년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정책으로 인한 원자력 인프라 붕괴로 손실비용이 500조 원이 넘는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게다가 지난해 한전 적자는 1조 4천억 원에 이르렀다. 이승만·박정희 대통령이 애써 일으켜 세운 원자력 산업 생태계가 붕괴하고 있으며 전 세계가 부러워하는 수출경쟁력이 증발할 위기에 처해 있다. 또 유능한 원자력 인력의 국외 유출과 국내 원자력 관련 대학과 대학원의 전공 기피 현상이 극심해지고 있다.
지난해 문재인 정부의 월성1호기 영구정지 결정을 지켜보면서 본인을 비롯하여 에너지 관련 학계 원로들은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전 세계적 노력으로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바람직하지만, 원전도 현실적 대안으로 적극 활용해야한다>고 간곡하게 건의한 바 있다.”
추천사중에서/ 정근모(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KAIST 초기설립자·부원장·교수, 과기처장관 역임

<근거없는 주장들에 대한 철저한 분석없이, 정부는 2031년까지 에너지 사용을 전망하는 제8차 전력수급계획을 발표하였다. 발전량 기준 발전원별 비중(%을 2017년 석탄(45.3, 원자력(30.3, 가스(16.9, 재생(6.2에서 2030년 석탄(36.1, 원자력(23.9, 가스(18.8, 재생(20.0으로 변화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원자력 및 에너지 전문가들이 배제된 채 수립된 이 계획에 의하면, 2030년까지 33GW의 태양광발전소 건설과 천연가스 수입 확대가 핵심이다. 장기적으로는 석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