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9
1부?20세기 상하이의 현대성과 일상의 문제?19
1장?상하이 노스탤지어: 포스트사회주의 시대 새로운 중국 상상법?20
2장?식민도시 연구방법은 있는가?53
3장?소가족은 어떻게 형성되었나?80
4장?‘가사학’의 탄생?111
2부?미디어는 어떻게 세계를 드러내는가?141
1장?화보잡지가 (비가시화하는 세계?142
2장?광고와 식민주의 문제?169
3장?좌익영화의 멜로드라마 정치?200
4장?지금 여기, 무산계급작가는 없다: 혁명, 노동, 지식?227
3부?월경(越境하는 동아시아-조선 작가?257
1장?공통적인 것의 구성은 가능한가: 1920년대 주요섭의 어떤 실험?258
2장?망명사회와 그 적들: 1930년대 김광주의 월경(越境 감각?289
참고문헌?331
우리가 몰랐던 메트로폴리스 상하이,
격동의 20세기에 현대 도시문화를 형성하다
왜 지금 상하이인가?
저자인 박자영은 상하이 문화에 대한 연구가 곧 현대성에 대한 연구라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다양한 주체가 국가라는 정체성을 넘어 교류했던 20세기 초의 상하이는 현대 도시문화의 형성과 전개과정에 대한 중요한 표본을 제시하고 있다. 상하이에 대한 연구가 한 도시에 대한 연구를 넘어 현대성의 자장 아래 형성된 우리의 일상에 대한 연구인 이유는 그 때문이다. 포스트사회주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급격한 변화를 이룬 20세기 초의 상하이를 돌아보는 일은 우리의 삶을 재배치하고 새롭게 개념화할 수 있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문화연구의 확장과 심화,
20세기 초 상하이에서 발견한 동아시아의 미래
『상하이의 낮과 밤』은 20세기 초 현대성과 도시문화 형성과 관련된 문화연구의 흐름을 동아시아로 연장하여 이에 대한 연구 시야의 확장과 심화를 꾀한다. 일국을 넘는 교류가 횡행했던 국제적인 대도시였던 20세기 초의 상하이는 도시문화의 형성과 전개과정에서 다종의 문제를 포진시키고 있었다. ‘상하이의 낮과 밤’이라는 제목과 ‘현대성의 문화와 일상, 대중문화’라는 부제에서 드러나듯이 이 책은 현대성과 일상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다룬다. 이뿐만 아니라 코스모폴리타니즘, 식민주의, 내셔널리즘, 비판적 지역주의, 이질성, 유토피아, 시각성, 가정성, 멜로드라마, 디아스포라 등의 자명한 개념들이 다시 의문에 부쳐진다. 이들 개념이 상하이의 역사 속에서 부상했던 장면들을 소환하여 재기술하는 가운데 이후에 희미해졌던 문제와 의미들을 다시 포착한다. 이를 통해 도시문화가 갖고 있는 매혹뿐만 아니라 비판적인 시선과 해방의 가능성으로 해석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적 움직임과 향방을 뒤쫓았다.
20세기 초 상하이에서는 새로운 장(場 속에서 다양한 주체들이 모습을 드러내고 목소리를 낸다. 특히 급진적인 목소리와 행동이 들끓고 많은 것들이 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