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장 서론: 김소월 시의 리듬의 위상
1. 소월 시의 리듬과 율격론
2. 내용 조직의 원리로서 리듬
3. 시적 리듬의 분석 장치와 지표
제2장
<진달내?>
의 ‘운韻, rhyme’의 구조
진달내?>
1. 규칙적 형태의 반복 : 압운의 가능성과 존재 양상
2.
<진달내?>
의 압운의 실제
1 두운과 요운
2 각운
3.
<진달내?>
의 ‘프로조디(prosodie’ 분석
1 ‘프로조디’ : 음운의 불규칙적 산포
2
<진달내?>
의 ‘프로조디’ 분석의 실제
제3장
<진달내?>
의 ‘율律, meter’의 구조
진달내?>
1.
<진달내?>
의 율격의 위상
2.
<진달내?>
의 율격의 실제
1 음수율적 정형시의 경우
2 음수율적 변이형의 경우
3 분행시의 경우
3. 자유율과 호흡률 : 개성적 리듬
1 휴지(休止, pause
2 템포(tempo
제4장
<진달내?>
의 ‘선율旋律, melody’ 구조
진달내?>
1. 시적 리듬에서 억양 분석의 의미
2.
<진달내?>
의 억양 구조
1 의미 단락의 기본 유형
2 종결율조(cadence의 기본 양상
3.
<진달내?>
의 억양 구조 : 시적 리듬의 억양
1 구문론적 억양과 시적 억양의 충돌
2 문장의 단락(短絡
시적 리듬에 대한 재사유
“시적 리듬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한 편의 시를 읽을 때, 시 내부에서 매우 미묘한 소리의 울림과 반향을 감지한다. 시의 질감을 결정짓는 특정한 소리의 울림은 시에 고유한 ‘소리의 결(texture’을 형성하면서 한 편의 시를 내적으로 조직한다. 시적 리듬(poetic rhythm은 ‘소리의 결’이 음운·단어·문장 차원의 독특한 소리 구조로 구체화된 것이다.
<김소월 시의 리듬 연구>
는 바로 이것, “하나의 시를 내적으로 조직하는 원리로서의 소리 구조”를 탐색하고 있다.
이 책은 우리 시의 시적 리듬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제창한다. 전통적 이론은 시의 소리 구조를 ‘율격(meter’이라는 범주로 한정함으로써, 음수율과 음보율과 같은 말단의 형식들이 한국 근현대시 리듬의 요체이자 전체인 것처럼 오인되는 사태를 초래했다. 시적 리듬이 ‘글자수 세기’나 ‘시행 토막내기’로 대체된 것도 이러한 사정에서 기인한다. 이 책은 이러한 사태 속에서, 시적 리듬 개념에 대한 재사유를 요청한다. 기존의 율격론이 견지해 온 분석틀과 방법론을 지양하고, 현대시의 자유로운 리듬에 적합한 분석틀과 방법론을 새롭게 정초할 필요성을 역설한 것이다. 이 책은 시적 리듬이 하나의 망령쯤으로 간주되는 최근의 추세 속에 현대 자유시의 자유율과 산문율의 성립 가능성을 타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김소월 시의 리듬 연구>
는 새로운 리듬론의 수립이라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대표적 민족시인 김소월의 시를 분석했다. 김소월은 우리 근대 자유시의 성립과정에서 외래와 전통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대표적 시인이다. 소월 시의 리듬에는 과거와 현재, 안과 밖, 내용과 형식이라는 이분법적 계기들의 길항관계가 반영되어 있는데, 이는 근대 자유시의 외형률과 내재율이 상호 교차하는 중심 지점이다. 소월 시의 리듬의 기저에는 규칙(정형이라는 질서의 원리와 불규칙(변형이라는 변화의 원리가 내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