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언어와 대중매체
Ⅱ. 문학과 대중매체
Ⅲ. 매체의 변환
Ⅳ. 매체의 혼용과 플랫폼의 변화
Ⅰ. 언어와 대중매체
1.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른 TV 영상 자막의 분석 ?이지양
2. 대중매체 언어와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윤신원
Ⅱ. 문학과 대중매체
1. 고전소설과 TV 드라마 ?송성욱
2. 조선시대 대하소설의 현재성 ?송성욱
3. ??구운몽??과의 현대적 소통 ?송성욱
4. 웹툰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강미선
Ⅲ. 매체의 변환
1.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 양상 및 의의 고찰 ?정선희?이지양
2. 각색영화 시청이 중학생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임정
3. 윤태호
<미생>
서사구조 분석 ?이윤영
Ⅳ. 매체의 혼용과 플랫폼의 변화
1. 그림책에서의 만화적 표현 연구 ?정선희?이지양
2. 플랫폼의 변화가 게임텍스트 구조에 미치는 영향 ?손충근
동화?드라마?지역문화?공연 등 각 콘텐츠 분야의 전문가들이 집필에 참여해 ‘콘텐츠의 현재와 미래’를 다각도로 분석한 가톨릭대학교 글로컬문화스토리텔링연구소의 첫 연구총서
역사 속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류를 새로운 시대로 도약시켰고, 사회 문화 전반에 다양한 변화를 이끌어 냈다. 인간은 이전 시대에선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매체들에 적응해 나갔고, 지금은 그것들을 통해 타인과 소통하며 하나의 거대한 문화콘텐츠 장을 양산하고 있다. 문화 교육, 문화 연구도 기존의 관점과 패러다임을 깨고 새로운 교육과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가톨릭대학교 글로컬문화스토리텔링연구소에서는 인문학적 전통이 날로 위세를 더해가는 대중매체와 마주치는 접점 지점에 오랜 관심을 두었으며, 기존 콘텐츠 연구에서 잘 찾아볼 수 없었던 현대적 의미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했다. ??인문 콘텐츠와 대중매체??(2016, 소명출판, ??지역 문화 콘텐츠와 스토리텔링??(2016, 소명출판에 실려 있는 글들이 모두 그러한 노력의 결과다.
인문학 콘텐츠 연구의 범주 확장
그동안 인문학은 문자문화의 울타리 안에서 웅숭깊은 세계를 일구는 데 몰두해 왔다. 이는 그 자체로 충분히 의미 있는 작업이므로 폄하하여야 할 까닭이 없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인간과 사회 또한 질적으로 변화한다면, 지금 여기의 인문학은 이러한 양상까지 끌어안아 범주를 넓혀 나가고자 시도해 나아가야만 할 것이다.
축적된 성과 가운데 텍스트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분석해 나간 글만 뽑아 ‘가톨릭대학교 글로컬문화스토리텔링 연구총서’ 첫 번째 기획을 묶어낸다. ??인문 콘텐츠와 대중매체??에는 프로그램 성격에 따른 TV영상자막의 분석(이지양, 대중매체 언어와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윤신원,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양상 및 의의 고찰(정선희?이지양, 각색영화 시청이 중학생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이임정, 웹툰에 나타난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