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3
제1장 병자호란 연구의 성과와 한계 11
1. 문제의 제기 11
2. 연구 동향 검토 21
3. 책의 구성과 논점 28
제2장 병자호란 이전 조선의 국방 태세 33
1. 병력 확보와 군량 공급의 문제점 33
2. 조.명 군사 협력의 실상 57
3. 청야입보淸野入保 전술의 추진과 한계 89
제3장 병자호란의 발발과 강화講和 협상의 추이 119
1. 대청체제大淸體制의 수립과 조?청 간의 의례 논쟁 119
2. 청군의 군사력과 개전 초기의 전황 152
3. 남한산성 농성과 강화 협상의 쟁점 173
제4장 전후처리와 척화론斥和論의 함의 217
1. 삼전도 항례降禮의 이행과 대청對淸 관계의 재설정 217
2. 패전 책임자 처벌을 둘러싼 주화.척화론의 재격돌 239
3. 조선시대 중화中華 인식의 성격과 척화론 296
제5장 ‘두 개의 대명인식’과 병자호란 345
참고문헌 / 363
찾아보기 /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