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3
시작하며 11
마음챙김 명상 이론 31
1. 마음챙김 명상의 핵심 수행법-마음챙김, 알아차림 33
2. 바와나와 팔정도 44
3. 사마타와 위빠사나 90
4.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을 담은 경전-?대념처경?, ?안반수의경? 102
이론과 실제의 접목 119
1. “온몸을 경험하면서” 122
2. ‘안으로 밖으로’ 131
3. “탐욕과 성냄을 놓아버리면서” 134
4. 명칭붙이기 135
5. 아는 마음 138
마음챙김 명상법 매뉴얼 159
1. 수행의 핵심 161
2. 수행지침 163
3. 좌선 수행 165
4. 와선 수행 170
5. 행선 수행 171
끝내며 153
주석 174
참고문헌 203
붓다의 명상법은 위빠사나 명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붓다의 명상법에는 사마타 수행의 측면과 위빠사나 수행의 측면이 있으며 마음챙김 명상의 사마타 수행은 붓다의 등장 이전에 인도아대륙에 존재해왔던 요가적 명상의 사마타 수행과 다르다는 것이 드러났다. 붓다의 명상법과 관련하여 사마타 수행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았던 것은 세계 불교계에서 권위를 인정받는 상좌부불교가 절대적 준거로 삼는 『청정도론』과 아비담마에 요가적 사마타 수행의 요소가 유입되었고 그러한 내용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 붓다의 명상법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되어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호흡의 개념에 집중하거나 까시나라는 표상에 집중하는 수행법은 동남아시아의 대다수의 수행선사들은 따르지 않지만 일부 수행전통이 이를 수용하였고 무엇보다도 『청정도론』과 아비담마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학자들이 그러한 명상법을 팔정도의 맥락에서 바른 삼매(정정에 이르는 바른 마음챙김 명상(정념으로 간주하였다. 표상에 집중하는 사마타 수행이 붓다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근거는 붓다의 명상법은 경험을 있는 그대로 마음챙겨 알아차리는 수행이며 감각의 제어를 위해서도 붓다는 표상이나 부분상을 취하지 말 것을 설하기 때문이다.
표상이나 개념에의 몰입을 위한 집중을 수행하는 명상법은 붓다의 등장 이전에 인도에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온 요가적 사마타 명상이 불교 전통에 유입된 것이라는 점을 해명한다. 요가적 명상과 『청정도론』이나 아비담마에 포함된 까시나 명상과 같은 사마타 수행법이 유사한 점을 미흡한 수준으로나마 밝혔고 역사적 배경을 고려할 때 유식불교를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두 명상 전통이 싹튼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할 때 요가적 명상은 신과의 합일이 진리의 원천이라는 믿음 아래 힘과 지혜의 완전한 모델로서의 신의 개념에 집중함으로써 완전한 몰입 상태인 삼매에 도달하여 개념 너머의 초월 세계로의 전이를 추구한 것이다. 반면 붓다는 무신론적인 성향의 소유자로서 초월 세계가 아닌 경험 세계, 현실 세계의 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