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지금 당장 교육연극수업을 준비하라
1부. 수업은 이벤트가 아니다
1. 이제 수업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자
2. 교사: 수업의 중심은 학생이어야 한다
3. 학생: 수업 속에서 소외된 학생들
4. 수업장학에서 수업코칭으로!
<교육연극 톡!?Talk?> 동료 교사가 함께해야 교육연극수업을 지속할 수 있다
2부. 교육연극수업, ‘나’와 ‘사람’, 그리고 ‘삶’을 배우다
0. 교육연극수업에 길을 묻다
1. 교육연극수업, 수업에 몰입하는 학생을 만나다
2. 질문이 살아 있는 교실, 수업대화가 핵심이다
3. [수업대화 케이스 스토리 1] 수업 오프닝: 공감할 수 있는 주제 선정
4. [수업대화 케이스 스토리 2] 즉흥극: 순발력 있는 질문과 답변
5. 교육연극수업, 전뇌(全腦학습을 자극한다
6. 교육연극수업은?‘학습’ 과정이다
7. 교육연극수업기획의 출발점,?‘학생’과?‘수업주제’에 주목하다
8. 교육연극수업에서?‘사람’을 배우다
9. 교육연극수업의 3가지 키워드: 동료, 지속성, 학교문화
<교육연극 톡!?Talk?> 교실공간이 수업의 무대가 된다
3부. 단위수업형 교육연극수업, 작은 몸짓으로 표현하다
0. 프로젝트 주제: 일상수업이 교육연극수업이 되기까지
1. 학생들의 일상 언어가 교육연극의 주제다(비유
2. 주인공의 마음 발자국을 따라가다(인물
3. 괜찮아, 잠시 잊고 있었던 것뿐이야(휴머니즘
4. 과학, 연극과 만나다(과학
<교육연극 톡!?Talk?> 교육연극수업에서 만나는 즐거움: 몰입
4부. 교과 프로젝트형 교육연극수업, 협력하는 아이들을 만나다
0. 프로젝트 주제: 지식이 아니라 삶의 문제다
1. 자긍심 1: 나는 소중하다
2. 자긍심 2: 친구도 소중하다
3. 절제: 나의 욕구를 조절하는 힘
4. 갈등: 신이 준 선물 상자?
5. 배려: 독이 되는 배려 vs 약이 되는 배려
6. 공정: 네가 X맨이었어?
<교육연극 톡!?
교사들이여, 지금 당장 <교육연극수업>을 시작하라
이 책은 현재의 수업문화를 ‘성찰’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학생들은 왜 ‘배움’에 지쳐가고 있는지, 교사는 왜 가르침에 신이 나지 않는지, 학교 공개수업은 왜 이벤트 행사로 운영되는지 등 근본적인 물음을 제시하고, 해결책을 <수업>에서 찾았다. 정책이나 이론으로는 일상의 수업이 달라지지 않는다. 수업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한 때다. 그래서 저자는 교육연극을 생각해보았다. 이제는 단순한 수업기법이나 외국의 수업이론에 현혹될 때가 아니다. 학생들이 수업안에서 자신을 배우고 생각한 바를 몸으로 표현하고, 그 과정에 몰입하는 수업이 필요하다. 교사들이여, 지금 당장 교육연극수업을 시작하라.
교육연극수업은 공연이 아니라 <일상의 수업>이다
흔히 교육연극수업을 ‘연극을 만드는 수업’으로 생각하기 쉽다. 교사들은 연극전문가가 아니라서 교육연극수업을 못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교육연극수업을 잘하기 위해서는 연극 기법을 많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교육연극수업을 둘러싼 <오해>이다.
이 책은 학생들이 몰입하는 수업, 생동감 있는 수업, 수업대화를 고민하는 선생님들에게 로드맵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는 무엇보다도 교육연극수업을 처음 만나는 선생님들을 위해 ‘단위수업’에서부터, ‘교과 프로젝트형’, ‘주제심화형 프로젝트형’, 예술강사와 함께하는 ‘협력수업형’, 마지막 그림자극 공연까지 수업 속 이야기를 담고 있다.
교육연극수업, 교사의 <수업 대화>에 주목하라
우리가 평소에 먹는 밥상은 삼첩반상이다. 잔칫상이 아니다. 교육연극수업도 마찬가지이다. 이벤트나 특별 공연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일상 수업>에서 교육연극을 맞이해야 한다. 학생들의 상상력을 유도하고 몰입하게 만드는 것은 연극 기법이 아니라 교사의 질문이다. 통찰력 있고 순발력 있는 교사의 질문이 학생의 사고를 깊이 있게 만든다. 이것이 수업동력이 되는 수업대화이다. 수업대화의 질은 교육연극수업의 완성도를 좌우한다. 교육연극은 학생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