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 1 - 자본주의로의 이행의 시작 18세기부터 1945년까지
저자 윤홍식
출판사 사회평론아카데미(현매
출판일 2019-06-27
정가 29,000원
ISBN 9791189946142
수량
제1부 이론과 방법

제1장 문제 설정과 연구 전략
제1절 왜 한국 복지체제의 역사적 기원과 궤적인가
제2절 한국 복지체제의 역사적 기원과 궤적의 네 가지 질문
제3절 연구 전략: 비교역사방법
제4절 분석 수준, 분석 시기, 분석의 이론과 관점
제5절 『기원과 궤적』의 시기 구분과 구성
제6절 정리와 함의

제2장 한국 복지체제 연구의 성과와 한계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한국은 복지국가인가
제3절 한국 복지체제의 성격 논쟁
제4절 새로운 유형으로서 한국 복지체제의 가능성
제5절 정리와 함의

제3장 복지체제 분석을 위한 이론과 관점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세계체계관점, 복지체제를 설명하는 또 하나의 관점
제3절 한국 중심적 접근 방법
제4절 젠더관점
제5절 권력자원론
제6절 (신제도주의
제7절 정리와 함의

제4장 역사적 복지국가와 개발국가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역사적 복지국가
제3절 자본주의로의 이행을 둘러싼 논란
제4절 분배체계로서 역사적 복지국가와 개발(발전국가
제5절 정리와 함의

제2부 자본주의로의 이행의 시작

제5장 사회민주주의의 부상과 역사적 복지국가의 태동: 187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시기 구분: 187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제3절 자본주의 세계체계의 변화: 영국의 쇠퇴와 미국의 부상
제4절 정치와 권력관계: 혁명에서 개혁으로, 사회민주주의의 부상
제5절 분배체계: 복지체제의 다양성의 맹아
제6절 정리와 함의

제6장 전자본주의 분배체계의 해체: 18세기부터 1910년 강제병탄까지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시기 구분: 18세기부터 1910년까지
제3절 경제: 상품화폐 경제의 발달과 세계체계로의 편입
제4절 주체 형성과 권력관계: 반봉건·반제투쟁과 새로운 권력관계의 출현
제5절 분배체계: 해체되는 전자본주의의 분배체계
제6절 정리와 함의

제7장 식민지, 강요된 자본주의 세계체계의 주변부화, 1910~1945년: 반공주의와
제1권은 1, 2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서는 한국 복지국가의 역사적 기원과 궤적을 검토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쟁점에 대해 정리했다. 도전적인 관점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복지국가를 역사적으로 특정한 시기에 만들어진 ‘역사적 분배체계’로 개념화했다는 점이다. 2부에서는 18세기부터 1945년 해방 이전까지를 다루었다. 이 시기는 자본주의 세계체계에서 영국의 헤게모니가 위기에 처하고 미국이 새로운 헤게모니 국가로 등장한 시기이다. 한국 사회는 1876년 개항을 전후해 자본주의 세계체계로 편입되면서 중층적 토지소유와 환곡이라는 전통적 분배체계가 해체되고, 사적 소유에 기초한 자본주의 분배체가 성립되기 시작했다.

기대효과

이 책은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을 한국이 자본주의로 이행을 시작하던 시점에서 찾으려고 시도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관련된 논의의 지평을 정책차원에서 체제차원으로 넓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을 일국적 경계를 넘어 자본주의 세계체제와 역사적 자본주의의 맥락에서 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개항 이후 한국이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편입되었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한국 복지국가에 대한 논의는 일국적 경계를 넘어, 세계체제 차원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셋째, 이 책은 서구 중심성에서 벗어나 제3세계 국가들의 복지국가의 길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가 서구 복지국가의 준거로 비서구 국가들을 이해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책의 가장 기대되는 성과 중 하나는 한국과 같은 개발도상국들의 복지국가의 ‘가능성’을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역사적 맥락에서 조망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에 대한 비판적인 후속 연구가 풍성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 책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사회복지학과 또는 유관학과(행정학,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