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다원사회의 원류를 찾아서
1장 왜 고려왕조에 주목해야 하나?
다원사회, 고려왕조 다시 읽기
시간 속의 고려왕조
2장 고려왕조를 이끈 사람들
국왕의 세계
관료의 세계
3장 민족통합의 모델, 고려왕조의 본관제
고려왕조의 특징, 본관제
본관제의 특성과 역사적 의의
4장 벌집구조로 이루어진 다원사회
분할적 형태의 재정·경제구조
전업적·분업적 형태의 신분-직역구조
벌집구조의 사회 구성, 군현제와 부곡제
5장 문화와 사회, 다양성과 통일성의 조화
다양성과 통일성의 문화와 사상
고려문화의 사회적 기반
평행의 원리 : 가족과 혼인, 호주와 상속제도
6장 실리와 공존, 줄타기 외교전술
고려왕조기 대외정세 개관
등거리 실리외교 : 송·거란·금과의 관계
벼랑끝 외교, 원과의 항쟁과 강화
7장 희망과 기회의 시대를 열다
민의 세계와 존재형태
12, 13세기 민의 동향-유망과 항쟁
14세기 민의 동향-하층민의 진출
주요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고려사는 중요하다!
그동안 고려사는 베일 속에 가려진 채 대중들로부터 소외되어왔다. 흔히 우리의 전통시대라면 으레 조선시대만을 언급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두 가지만 들면 다음과 간다. 첫째, 조선이 오늘과 가장 가까운 시기의 왕조인 데다 관련 유물과 자료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고려시대는 주요 유물과 유적이 북한 지역인 개경에 몰려 있어 현실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둘째, 조선왕조실록처럼 당대에 직접 기록된 1차 사료가 없다. 나 도 모두 조선시대에 편찬된 사료여서, 이에 입각한 고려의 ...
고려사는 중요하다!
그동안 고려사는 베일 속에 가려진 채 대중들로부터 소외되어왔다. 흔히 우리의 전통시대라면 으레 조선시대만을 언급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두 가지만 들면 다음과 간다. 첫째, 조선이 오늘과 가장 가까운 시기의 왕조인 데다 관련 유물과 자료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고려시대는 주요 유물과 유적이 북한 지역인 개경에 몰려 있어 현실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둘째, 조선왕조실록처럼 당대에 직접 기록된 1차 사료가 없다. 나 도 모두 조선시대에 편찬된 사료여서, 이에 입각한 고려의 역사상은 조선 초역사가들의 입장이 반영되어 그 실제 모습이 크게 훼손된 한계를 갖고 있다. 그런데도 그간 고려시대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조선왕조 건국을 합리화하는 입장에서 서술한 이 기록을 그대로 따라 조선왕조 시각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고려사의 진실이 제대로 파악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각종 사극이나 역사 관련 프로마저 조선왕조에 집중되어 있어 마치 조선왕조가 다시 부활하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의 역사적 관심이 특정왕조에 편중된 결과, 한국사의 다양한 문화전통이 바르게 전달되지 못하는 부정적 측면이 있다.
기존의 고려사의 시각과 방법론 대《새로 쓴 5백년 고려사》의 차이
우선 이 책은 고려사를 “죽은 과거의 역사가 아니라 현재와 연결된 살아 움직이는 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