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조선의 페미니스트
저자 이임하
출판사 철수와영희
출판일 2019-03-08
정가 17,000원
ISBN 9791188215201
수량
머리말
설치고 떠들고 생각하고 행동했던 조선의 페미니스트들

한국의 페미니즘이란?
해방공간의 페미니스트들

여남평등 이룩하여 평등조선 건설하자!
유영준(劉英俊, 1890~?


부총 위원장의 주머니 | 안창호의 친구 | 도쿄여의전 시절 | 조선총독부의 위생 담론에 개입하기 | 머리가 다르냐! 학식이 다르냐! |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설립 활동 | 신여성 혐오에 말 걸기 | 광산의 반격, 유영준을 가르치다 | 유영준의 재반격, 우리가 세상의 주인이다 | 다른 개념으로 말하기 | 먼저 사회제도에 항의할 일 | 천오백만의 여성 지도자
유영준의 발자취와 글

여성들이여! 분노하라 그리고 경제적 독립을 쟁취하라!
정종명(鄭鍾鳴 1896~?


압박골의 철쭉꽃과 방울 당나귀 | 3대로 이어진 항일운동 |자활의 길을 찾아 산파로 거듭나기 | 성교육은 불온한가? | 10년을 한결같이 한반도 구석구석에서 강연하기 | 두 가지 결심-비혼 여성으로 살기, 현실과 맞서기 | 일상이 된 체포와 구금 |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위원회, 3년간의 취조와 구금 | 전향의 유언비어 | 여성들이여! 분노하라 그리고 경제적 독립을 쟁취하라! | 여성해방론과 여성운동론
정종명의 발자취와 글

사람이 있고 운동이 있다
정칠성(丁七星, 1897~1958?


금죽과의 이별 | 도쿄 유학과 변화된 삶 |섬세하고 단호한 기질 | 그녀의 아들, 이동수 | ‘붉은 연애’를 말하다 | 나의 청춘, 근우회여! |강연과 『근우』 편집 | 일제 파시즘 체제, 여성운동을 어떻게 할 것인가 | 해방 뒤, 부총 부위원장의 행보 | 국제무산부인데이와 여성의 날 | 내가 생각하는 신여성이란? | 여성해방의 길과 무산 여성
정칠성의 발자취와 글

우리 자신의 해방은 우리의 힘으로
고명자(高明子, 1904~1950
설치고 떠들고 생각하고 행동했던 조선의 페미니스트들

‘경제적 자주성을 획득하라!’
‘문맹을 퇴치하자!’
‘미신을 타파하자!’
‘일제 잔재를 깨끗이 쓸자!’

1945년 12월 22일, 서울 안국동 풍문여고 강당 안은 젖먹이를 품에 안은 젊은 어머니, 머리 희끗희끗한 할머니, 중년의 부인, 단발한 여학생 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이날 1,000여 명의 여성이 참석한 가운데 조선부녀총동맹 결성식이 열렸다.
조선부녀총동맹은 선언문에서 “어머니는! 아내는! 딸 된 사람은! 부엌에서! 농촌에서! 거리에서! 우리들이 받아온 모든 부면에서의 차별은 세계 어느 나라를 찾아보아도 유례없는 비분(悲憤한 것이었다.”라며 여성 차별에 대한 분노를 터뜨렸다. 그리고 “과거 조선에 건설적인 우수한 조선 여성의 전통을 존중하며 앞날의 조선에 창조적인 적극적 여성이 되자!”고 선언했다.

이 책은 3·1 운동과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아 한국현대사에서 여성을 주제로 여성들의 삶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온 역사학자 이임하의 ‘식민지 일상에 맞선 페미니스트들의 삶’에 대한 기록이다.
해방 이후 결성된 조선부녀총동맹 등에서 활동했던 유영준, 정종명, 정칠성, 고명자, 허균, 박진홍, 이순금 등 일곱 명의 페미니스트들의 삶과 그들이 남긴 글을 통해 이들이 일제 강점기와 해방공간에서 식민지 일상에 맞서 어떻게 저항하고 어떻게 여성들의 삶을 바꾸려고 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는 조선의 페미니스트들을 통해 성차별이 가득 찬 당시 세상에서 그들이 중요하게 생각한 가치와 삶의 방식이 무엇이었는지 알려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여성해방을 위한 페미니즘이 탄생한 데에는 충분한 그 나름의 사상과 역사성이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현재 한국의 페미니즘은 결코 수입품이 아니라 일제 강점기에 저항한 조선의 페미니스트들과의 연장선상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조선의 페미니스트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