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유도원도」에서 「매천 황현 초상」까지
조선의 옛 그림에서 얻는 자기 혁명의 메시지
중년 남성은 어떻게 자신을 성찰하고 성장할 수 있는가. 골프, 부동산, 차에 대한 욕심 외에 본질적 가치를 돌아보는 도구들로 삶을 채울 수는 없을까? 『나를 세우는 옛 그림』은 이런 물음에 한 가지 답을 건넨다. 이 책의 지은이 손태호는 옛 그림 보기야말로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일 뿐만 아니라 배움과 수행의 과정이라며, ‘옛 그림 수신론’을 역설한다.
지은이가 옛 그림에 빠져든 계기는 이렇다. 30대 중반, 세상살이에 지쳐 어디론가 도망치고 싶던 무렵, 우연히 간송미술관의 전시를 보고는 ‘불필요한 감정을 비우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그때부터 전국 곳곳의 미술관, 고서화점 등을 돌아다니며 옛 그림을 폭식하듯 감상했고 급기야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에 들어가 미술학을 전공하기에 이른다. 이렇듯 애호가에서 전공자로 옮겨 간 이력 덕분인지 지은이의 글은 전문가의 내공이 살아 있으면서도 쉽고, 오주석 선생을 떠올리게 할 만큼 옛 그림에 대한 애정이 넘친다. 그 애정을 바탕으로 「몽유도원도」에서 「매천 황현 초상」까지 조선의 옛 그림 60여 점의 의미와 작품 창작의 배경을 소개하고, 지은이가 발견한 옛 그림 속 가르침을 기록했다. 김홍도의 「모구양자도」를 보면서 아들로서 자신을 돌아보고 윤두서의 「자화상」과 채용신의 「매천 황현 초상」을 보면서는 중년 선비의 삶과 자세를 본받는다. 또 김정희의 「수식득격」 속 난엽의 가벼움 앞에서는 비우는 것의 아름다움을 생각하며 마음이 서늘해지기도 한다. 지은이에게 옛 그림은 “흐트러지고 비딱해진 마음을 바로 세우고 새로운 용기와 각오를 다지는 데 훌륭한 조력자”인 것이다. 『나를 세우는 옛 그림』은 옛 그림으로 삶을 다잡아 온 한 중년 남성의 성장의 기록이자, 동년배에게 주는 권유의 메시지다.
옛 그림을 지기지우(知己之友로 두는 세 가지 방법
역사적 맥락에서 보기, 회화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