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序
제1편 한국불상의 특징
한국의 고대조각과 미의식
Ⅰ 서론
Ⅱ 종교조각으로서 불상 표현의 성격
Ⅲ 한국불상의 성립과 국제성
Ⅳ 삼국시대 불상의 한국적 특성
Ⅴ 통일신라불상?의 이상형의 성립
Ⅵ 통일신라 후기 불상의 전개와 토착화
Ⅶ 결어
제2편 삼국시대의 불교조각
삼국시대 불상양식 연구의 제 문제
Ⅰ 서론
Ⅱ 삼국 초기 불.보살상의 양식 문제
Ⅲ 백제불상의 양식 문제
Ⅳ 반가사유형 보살상
Ⅴ 우견편단형 불입상
Ⅵ 결어
황룡사의 장륙존상과 신라의 아육왕상계 불상
Ⅰ 서론
Ⅱ 문헌상의 아육왕상
1. 황룡사의 장륙존상
2. 중국의 아육왕상
Ⅲ 북주의 아육왕상 일례
1. 전 금광사지 출토 석조여래입상
2. 구황동 사지 삼층탑 출토 금제여래입상
Ⅳ 신라의 아육왕상식 불상
Ⅴ 결어
삼국시대의 봉지보주형 보살입상 연구
― 백제와 일본의 상을 중심으로 ―
Ⅰ 서론
Ⅱ 백제의 봉지보주형 보살입상
1. 부여 출토의 예
2. 태안 및 운산의 마애삼존불
Ⅲ 일광삼존불협시의 봉지보주보살상
1. 금동삼존불상 광배편
2. 구 오구라 소장 금동삼존불상
Ⅳ 독존의 봉지보주보살상 2구
1. 거창 출토의 봉주보살상
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봉주금동보살상
Ⅴ 중국의 봉지보주보살상
Ⅵ 봉지보주보살상의 명칭 추정
Ⅶ 백제와 중국 및 일본과의 불교문화 교섭
1. 중국과의 관계
2. 일본과의 관계
Ⅷ 결어
제3편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조각
통일신라시대 전기의 불교조각양식
Ⅰ 서론
Ⅱ 전통양식의 계승과 외래요소의 유입
1. 연기군 출토 불비상군
2. 군위 아미타삼존불상
3. 구황동 삼층석탑 출토 순금불입상
출판사 서평
이 책은 불교조각 연구의 권위자인 김리나 홍익대학교 명예교수가 1989년 출간한 『한국고대 불교조각사 연구』의 신수판新修版이다. 첫 출간 후 26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불교조각사 연구의 필독서로 꼽?히고 있어 내용은 그대로 하되 현재성을 고려하여 새로 편집하여 출간하였다. 초판본의 흑백사진들을 대부분 컬러사진으로 교체하여 수록하였으며, 일부는 최근 사진을 실었다. 또한 도판의 유물 명칭은 현재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으로 표기하였고 유물의 소재지나 소장처가 변경된 경우에는 수정하였다.
이 책은 10편의 논문을 모아서 엮은 논문집으로...
이 책은 불교조각 연구의 권위자인 김리나 홍익대학교 명예교수가 1989년 출간한 『한국고대 불교조각사 연구』의 신수판新修版이다. 첫 출간 후 26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불교조각사 연구의 필독서로 꼽히고 있어 내용은 그대로 하되 현재성을 고려하여 새로 편집하여 출간하였다. 초판본의 흑백사진들을 대부분 컬러사진으로 교체하여 수록하였으며, 일부는 최근 사진을 실었다. 또한 도판의 유물 명칭은 현재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으로 표기하였고 유물의 소재지나 소장처가 변경된 경우에는 수정하였다.
이 책은 10편의 논문을 모아서 엮은 논문집으로, 주로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불상조각을 다루었으며, 논문에 따라서 불상이라는 예배대상의 이상적인 형상, 불상 제작과 관련되는 역사기록, 불상의 도상과 양식적 특징 등을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의 불상과 연관시키거나 멀리는 인도에서 원류를 찾는 데 중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저자는 이를 통해 한국의 불상에 보이는 국제적인 성격과 한국적인 독자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책의 구성
제1편은 한국 불상의 조형성에서 느껴지는 미의식의 특징을 찾아보려는 글로, 불교문화가 절정에 이른 후 그 의식이 불교미술에 반영되는 조형성이라든지, 형이상학적인 불교교리가 구체적인 형상으로 전환될 때의 표현상의 특징이라든지, 종교적인 신앙심을 불러일으키는 이상적인 형상의 예배대상이 지역이나 민족에 따라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