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 글 _ 샌드라 스타인가드(Sandra Steingard
집필진
추천사 _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신영전
추천사 _ (사정신장애와인권 파도손 대표 이정하
추천사 _ 국립정신건강센터장 이영문
한국어판 엮은이 서문
1. 비판정신의학이란 무엇인가?
What Is Critical Psychiatry?
_ 조아나 몬크리프(Joanna Moncrieff, 샌드라 스타인가드(Sandra Steingard
도입
정신의학의 비판
반정신의학
대안 서비스
포스트모더니즘
마르크스주의 이론
서비스이용자운동
비판정신의학 운동
결론
요약
참고문헌
2. 정신과 진단 개념에 대한 이해 넓히기:
DSM 비판을 위한 생태학적 모델
Toward Conceptual Competence in Psychiatric Diagnosis:
An Ecological Model for Critiques of the DSM
_ 저스틴 카터(Justin M. Karter, 사라 카멘즈(Sarah R. Kamens
도입
DSM-5 비판의 경과 요약
구조적 확장과 개념적 확장
DSM-5 비판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
거시단위비판
존재론: 생물학적 환원주의 및 설명 간극
인식론: 광기 측정하기
외부단위비판
사회적 산물로서의 정신질환
DSM 진단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중간단위비판
미시단위비판
개인단위비판
결론
필자들의 성찰적 언급
참고문헌
3. 제약회사의 영향,
정신의학 연구 및 진료의 온전성 회복
The Influenc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Restoring Integrity to Psychiatric Research and Practice
_ 리사 코스그로브(Lisa Cosgrove, 아칸샤 바스와니(Akansha vaswan
추천사
존엄을 위한 선택, 인간의 길을 묻다
이정하 (사정신장애와인권 파도손 대표
한국에서 정신장애인으로 살았던 경험은 마치 야생 사냥터에서 쫓기는 토끼 신세 같았다면 과장된 것일까요? 어쩌면… 이보다 더한 표현도 부족합니다. 지난 20여 년 동안 경험했던 한국의 정신보건시스템이 당사자에게 가하는 가공할 폭력과 공포는 어쩌면 질환 그 자체보다 당사자의 삶에 더 큰 영향력을 미쳤습니다. 정신과 생존자(psychiatric survivors인 저 역시 수많은 당사자들 중 한 명입니다. 또한 지금은 이 세상에 없는 앞서간 당사자들의 투명했던 삶과 죽음마저도 응어리가 되어 제 가슴속에 차곡차곡 맺혀 있습니다. 저는 그런 이유로 당사자운동을 하고 있는 한 사람일 것입니다. 2013년 한국의 정신장애인 200여 명은 “살려주세요!” 외침으로 토론회를 개최하고 절박한 목소리로 “문명의 이름으로 야만의 정신보건법 폐지를 선언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듬해 「정신보건법」 제24조에 대하여 4명의 당사자가 청구인이 되어 헌법소원을 하였습니다. 당사자운동의 투쟁 과정에서 법이 바뀌기도 합니다. 그러나 2016년 개정되고 2017년 5월부터 시행중인 「정신건강복지법」조차 숱한 모순을 안고 여러 이해관계와 사회갈등 속에서 중심을 잡고 있지 못합니다.
사람으로 살고 싶다는 간절하고도 절박한 당사자들의 외침은 유령처럼 살다가 사건만 터지면 소환시키는 매스미디어의 편파보도로 ‘조현병포비아’라는 혐오와 낙인 뒤로 쉽게 잊히는 그 무엇이 되었습니다. 새벽 짙은 어둠 속 불안하게 지나온 수많은 청춘의 시간 속에서, 항정신병약물과 정신치료 사이 어딘가를 방황하며 영혼이 거세되는 그 느낌을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 그해 여름 강제치료의 결과로 늘 보이던 환영들이 사라졌을 때 감각도 함께 사라져버렸습니다. 그 무뎌짐이 과연 치료였는지 저는 알지 못합니다. 삶은 부유하며 땅에 딛지도 못하고, 지구별을 떠나지도 못한 채 언제나 정신과 영혼의 세
계는 병원 바깥에 있어도 그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