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서론: 한국 불교조각에 담긴 염원의 세계
1부 삼국시대의 불교조각
1. 고구려의 불상
1 불교의 전래와 초기 선정인 불좌상
2 초기 보살상
3 연가7년 기미년명 금동불입상
4 일광삼존불의 유행
5 평천리 출토 반가사유보살상
2. 백제의 불상
1 선정인 불좌상
2 초기 불입상과 보살상
3 봉보주보살상
4 일광삼존불상
5 암벽에 새겨진 정토왕생과 현세구복의 불상들
6 반가사유상과 미륵불신앙
7 자비와 구원의 관세음보살상
8 익산 연동리 석조불좌상과 광배
3. 신라의 불상
1 황룡사 장육존상과 새로운 불상형
2 경주 남산 탑곡의 마애불상군
3 반가사유상과 미륵신앙
4 자비와 구원의 관세음보살상
5 다양한 불상형의 등장
2부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조각
1. 통일신라 초기의 불교조각
1 정토왕생의 아미타여래
2 호국 사상 불사와 호국신장상
2. 통일신라 중기의 불교조각
1 정토왕생의 아미타여래상
2 불국토의 구현
3 현세구복의 신앙, 약사불상의 유행
3. 통일신라 후기의 불교조각
1 비로자나불상의 유행과 화엄신앙
2 탑에 새겨진 불교조각과 열린 공간 속의 대중 예배
3부 고려시대의 불교조각
1. 고려 초기의 불상
1 거석불의 등장
2. 통일신라 불상 전통의 계승과 변화
1 항마촉지인 철조불상의 유행
2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과 기타 마애불상들
3 감산사 여래입상 전통의 계승과 고려적인 변형
4 밀집형 법의를 입은 비로자나불상의 유행
5 당진 영탑사 금동비로자나삼존불좌상
3. 고려 중기 중국과의 교섭과 새로운 불상 유형의 등장
1 강릉 지역 불상의 새로운 요소
2 관음보살상 도상의 다양성
4. 고려 후기 불상표현의 두 가지 흐름
1 중기 불상양식에 보이는 전통의 계승
2 후기 전통 불상양식의 특징
3 티베트계 원대 불교조각양식의 유입과 변형
4 경천사 10층석탑과 복합적인 불교도상
5 예배용 금동불감의 유행과 소규모 예배 불단
4부 조선시대의 불교조각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 불교조각의 변화의 흐름과 시대별 특징을 짚어 내다
이 책은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까지 불교조각의 표현양식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세밀하게 들여다봄으로써 시대별 특징을 알려 준다.
먼저, 삼국시대의 불교조각을 살펴보면, 이 시기는 중국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며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선정인의 손 모습[手印]을 한 가장 기본적인 불좌상이 유행하였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상은 고구려의 <연가7년명 금동불입상>으로, 이 불상은 옷 주름의 표현양식에서 인도와 중국 불상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특히, 백제에는 암벽에 조각된 마애불상, 커다란 바위에 새겨진 석조불상 등이 많은데, <예산의 사면불>, <태안과 서산의 마애삼존불상>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은 백제 특유의 자연스러운 미소를 잘 보여 준다. 한편 삼국시대의 유명한 불상으로 국보 83호 <금동 반가사유 보살상>과 국보 183호 <선산 출토 금동 관음보살 입상> 등이 유명하다(108~109쪽, 116쪽 참조.
이어지는 통일신라시대에는 불상의 형식이 다양해졌다. 이 시기에는 <석굴암>, <경주 남산 불상군> 70여 구, 비로자나불상 등이 대표적이며, 사천왕사지, 감은사 등 호국을 위한 불사(佛事가 왕성하게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국제 교류가 잦아 중국, 일본, 한국의 불교조각은 서로 유사한 도상과 표현양식을 공유했다.
고려시대로 접어들면 중국과의 복잡한 외교적 상황 속에서 중국 불교미술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특히 원의 마지막 황제 순제(順帝의 비 기황후는 고려 출신으로, 금강산 사찰, 개성 연복사의 동종, 개성 경천사 10층석탑의 조성을 후원하였다. 고려 후기에는 티베트계 원대 조각양식이 많이 유입되기도 하였다. 이 시기 대표적인 불교조각으로 태조 왕건의 스승이기도 한 희랑대사의 최근 국보로 승격된 초상 조각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 정책으로 불교가 힘을 잃었으나, 왕실과 사대부의 개인적인 취향 덕분에 아미타여래좌상이 유행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