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황학사전」 한국어판 출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과 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 두 기관의 HK(인문한국사업단이 공동으로 기획.번역한 「돈황학대사전(敦煌學大辭典」 한국어판이 출간되었다.
「돈황학대사전」은 중국.대만.러시아의 돈황학 연구자 120명이 13년에 걸쳐 자료 수집과 집필을 거쳐 지난 1998년에 출판한 돈황학 연구 성과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연구 기관 가운데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과 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는 이 사전의 번역 필요성에 공감하여 지난 2012년 공동 번역 작업에 착수하였다. 총 22명의 역자와 10명의 감수자가 참여한 끝에 4년 만에 그 결실을 맺게 되었다.
돈황학은 국외에서는 이미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종교.예술.역사.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보고로 인정받고 있으며, 연구의 역사만 해도 이미 100년을 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돈황학대사전」 한국어판 출간은 관련 분야의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학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세계적 학문으로서의 ‘돈황학’
돈황학이 세계적 학문으로 발전하게 된 결정적 계기는 바로 장경동(藏經洞의 발견이다. 장경동은 막고굴 제17굴의 또 다른 이름으로, 바로 이곳에서 수많은 경전과 자료들이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이 장경동 자료들은 북송 초에 석굴의 벽이 닫혔다가 20세기 초에 와서야 세상의 빛을 다시 보게 되었으나, 곧바로 영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등의 탐험대에 의해 해외로 반출되어 그곳의 도서관이나 박물관에 소장된다. 그리고 이 자료들이 소장된 해외 각국의 학자들과 여전히 많은 자료가 남아 있는 중국의 학자들이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돈황학은 자연스레 세계적 학문이 된 것이다. 이 돈황 자료는 90% 이상이 불교와 관련된 것들이며, 그밖에 경서, 문학 작품, 역사서, 교재, 짧은 메모, 계약서 등도 적지 않다. 자료의 언어는 한자가 주류를 이루나 티베트어, 위구르어, 소그드어 등 당시 돈황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