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의 말
서문
‘낯설게 하기’의 역사 / 배제의 역사 / 타자의 역사 / 한국의 장애 역사 / 장애/장애인의 개념 / 시각장애인의 역사 기록과 구술 자료 / 책의 구성
1장 계몽과 자선, 시각장애인의 타자화
암흑 속의 시각장애인 / 문명의 타자 / 무능력과 준금치산자 / 자선과 자혜
2장 ‘맹인’ 점복업 조합의 호혜적 경제활동
맹인 점복업 조합의 오래된 미래 / 맹인 조합과 맹인 직업의 변화 / 해방 이후 맹인 점복업자들의 단체 활동과 사단법인 설립 / 문생 중심의 조합 운영과 경제활동 / 작은 이들의 연대와 호혜
3장 맹인과 함께 만든 한글 점자, 훈맹정음
식민지기의 맹인 교육과 전통적 교육 / 박두성의 교육활동과 훈맹정음(訓盲正音 / 시각장애인과 함께 만든 점자 /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
4장 ‘사람취급’ 받을 권리
소수자의 권리의 역사 / 식민과 탈식민화 과정에서 안마업의 변동 / 시각장애인의 권리 주장 / 작은 이들의 저항
5장 시각장애인의 구술전통과 이야기의 힘
이야기 전통과 구술문화 / 시각장애인의 구술문화의 형식적 특성 / 되풀이되는 서사와 집합 기억
6장 동아시아 시각장애인 생존권의 상이한 경로
동아시아의 시각장애인들 / 동아시아 시각장애인의 안마업의 역사 / 식민/탈식민 과정에서 시각장애인의 직업 변화 / 동아시아 시각장애인의 다른 경로와 저항
참고문헌 / 찾아보기
시각장애인의 권리는 투쟁의 결과다
역사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은 고려시대 이래 점복업 직역에 종사했고, 고유한 집합적 정체성과 문화 그리고 사회적 집단을 형성했으며 국가제사에 참여했다. 시각장애인의 구술문화를 통해 직역 집단의 역사는 전승되어왔으며, 시각장애인의 일을 국가가 보호해야 한다는 권리 의식을 기반으로 자신들의 권리를 지켜갔다. 이처럼 전통 사회에서 비교적 독자적이고 고유한 문화를 통해 생활하던 맹인들은 서구 선교사와 일제에 의해 하루아침에 보호받아야 하고, 불쌍(자선과 자혜하고, 어두움에 갇힌 무능한 사회적 주체(준금치산자로 강등되고, 식민 권력의 ‘문명화 사명’을 통해 ‘계몽의 빛’의 시혜적 대상, 즉 일종의 들러리가 된다. 한편으로 시각장애인들은 일제강점기하 ‘안마’라는 근대적 의료교육을 받기 시작하는데 식민자를 통한 이 같은 근대적 특수교육, 사회사업, 법제도의 이식은 종래 이들이 유지해오던 전통적인 삶의 방식 및 조직과 지속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시각장애인들은 이때부터 더욱 구체적으로 자신들의 지위와 권리, 사회적 인정을 보호하기 위해 투쟁을 이어갔다.
결코 작지 않은 ‘작은 이’들의 역사
시각장애인의 역사는 한 작은 집단의 역사이다. 그렇다면 이런 특정 장애의 역사는 전체 역사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 대체로 세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는 기존의 주류적 역사를 낯설게 하는 역사이며, 두 번째로는 사회에서 구체적으로 차별과 배제가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알려준다. 세 번째로는 타자의 주체성이 역사 속에서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이해하게 해준다. 시각장애인의 역사를 따라가다 보면 모순적이고 구불구불하며 다채로운 근대로의 길들을 만나게 된다. 그것은 때로 저항이었으며 때로는 복종이었고 또한 다름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하지만 확실한 점은 사회에서 배제되고 혹은 잔여적이며 낙후되었다고 생각되는 사회의 주변적 집단 역시 자신들만의 고유한 주체성과 저항 그리고 연대의 방식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