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대 전쟁
1장 중국 국민정부의 항일유격전 _기세찬
1. 머리말
2. 중국의 대일 유격전 실시 배경
3. 국민정부의 유격전 체제와 훈련
4. 국민정부군의 대일 유격전 실시 현황
5. 맺음말
2장 베트남전쟁의 재평가와 현대 전략적 함의 _박민형
1. 머리말
2. 베트남전쟁의 배경과 원인
3. 북베트남의 전쟁 전략 분석
4. 베트남전쟁의 주요 경과
5. 베트남전쟁 결과 분석
6. 한반도 안보에 주는 현대 전략적 함의
3장 걸프전쟁과 이라크전쟁 사이의 전쟁 패러다임 변화 _손경호
1. 머리말
2. 전쟁 패러다임 변화의 척도
3. 걸프전쟁
4. 이라크전쟁
5. 맺음말
4장 1999년 인도·파키스탄 ‘카르길 전쟁’: 핵보유국에 대한 ‘전략적 강압’ _손한별
1. 머리말
2. 이론적 검토
3. 카르길 전쟁
4. 한국에 주는 함의
5. 맺음말
2부 21세기 동북아 주요 국가의 전략 경쟁
5장 21세기 안보환경 변화와 미국의 핵전략: 제한핵전쟁에 대한 미국의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_이병구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전환기 미국의 국제관계 인식: 강대국 경쟁 시대의 회귀
3. 군사과학기술의 발전과 핵억제의 불안정성 증가
4. 미국의 제한핵전쟁 대비 태세 강화
5. 21세기 제한핵전쟁의 위험성과 한국 안보에 주는 함의
6장 미중 전략적 경쟁 시대 일본 아베 정부의 안보 및 군사전략 _박영준
1. 머리말
2. 미중 간 전략적 경쟁과 동아시아 안보 질서 변화
3. 미중 간 전략적 경쟁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대응전략
4. 안보정책 및 미일동맹: ‘다차원 통합방위력’과 인도·태평양 구상
5. 아시아 정책의 새로운 전개: 대중 및 대북 정책
6. 맺음말: 한국 안보정책에의 함의
7장 중국의 대전략 전환과 글로벌 영역에서 국방의 역할 확대 _박창희
1. 머리말
2. 중국의 대전략과 국방의 역할 확대
3. 중국의 첨단 군사력 건설 동향 및 평가
현대 전쟁의 승리 요인과 새로운 패러다임
1부에서는 현대의 전쟁이 발발한 원인과 배경을 제시하고, 승리한 국가는 어떠한 전쟁전략으로 승리할 수 있었는지 분석했다.
1장에서는 중일전쟁기 항일유격전에서의 중국 ‘국민정부군’의 역할에 주목했다. 국민정부가 항일유격전을 실시한 이유, 우한 함락 이후 국민정부의 대일 전략 방침 변화, 유격전 강화를 위한 국민정부의 유격전 체제 정비 과정, 각 지역별 항일유격전 실시 현황 등을 분석했다.
2장에서는 먼저 베트남전쟁의 발생 배경과 원인을 살펴보고, 상대적으로 열세한 전력으로 베트남 공산화에 성공한 북베트남의 전략을 정치사회적 수준과 군사적 수준으로 구분해 분석하여 이 전쟁이 한반도 안보에 주는 현대 전략적 함의를 제시했다.
3장에서는 전쟁 양상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걸프전쟁과 이라크전쟁을 비교했다. 주체와 무기, 일방적인 승리 등에서 닮은 두 전쟁이 실은 서로 다른 패러다임에 속한 전쟁이라는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하며, 걸프전쟁이 왜 산업화전쟁의 최첨단 버전이고, 이라크전쟁이 정보화전쟁의 첫 전쟁인지를 추적했다.
4장에서는 핵전략과 국제정치 연구에 다양한 주제를 제공하는 인도와 파키스탄 분쟁을 ‘카르길 전쟁’을 통해 살펴보았다. 인도-파키스탄의 관계는 남북 관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전쟁을 분석해 핵 약소국들이 위기 시에 어떻게 핵무기를 사용 또는 위협할 것인지, 핵무기 보유에 기반한 ‘대담한’ 도발을 어떻게 억제하고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주요 국가들의 전략 변화
2부에서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와 우리의 관계 변화를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각국의 전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했다.
5장에서는 제한핵전쟁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배경을 고찰하고, 제한핵전쟁 대비를 위한 미국의 핵전략과 정책 변화를 짚어보았다. 이를 통해 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핵위협 증가 가능성과 북한 핵위협 유지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일곱 가지 분야의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