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만화 앱(App이 ‘단행본 매출 지상주의’를 종결시킨다
1장: 스토어·플랫폼 계열 만화 앱이 개별 작품의 대결을 가속화한다
① 타사 신작의 연재 플랫폼 기능
② 스토어 기능 및 타사의 구작 연재 플랫폼 기능
③ 자사 신작 연재 기능
④ 커뮤니티 기능
각 만화 서비스의 공존과 분업
1,9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한 일본 최대의 만화 앱 ‘라인만화’
누계 550만 부 작품을 탄생시킨 플랫폼 ‘픽시브코믹’
주제별로 만화를 전달한다는 새로운 인지 회로 ‘스마트뉴스’
스토어·플랫폼 계열 앱은 ‘단품 장사’로의 변화를 가속화한다
브랜드가 무너지면 신인 만화가의 취업은 어떻게 변할까?
2장: 수익화 수단의 다양화
저렴한 객단가 모델을 도입하면 ‘단행본을 살 정도는 아닌’ 작품의 수명이 늘어난다
광고비로 수익을 올리는 방식이 의외로 만화와 잘 맞아떨어진 이유
높은 객단가 모델을 도입하면 ‘판매 부수는 적지만 열성팬이 많은’ 작품의 수명이 늘어난다
만화 광고(네이티브 광고 만화: B2B 만화 시장의 확대
만화 앱 등장 이후 다양화된 수익원이 만화 생태계를 풍요롭게 만든다
3장: 브랜드 판매를 부흥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를 키워야 한다
연재 투고 토너먼트와 ‘약간 추가’가 불러일으키는 효과
기획만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트이4의 트윗 타래를 보고 생각하다: 만화 앱 이용자는 대체 무엇을 공유하고 싶은 것일까?
XOY에서 볼 수 있는 댓글 기능이 ‘장(場’으로서의 즐거움을 좌우한다
4장: 상호 모방에 따른 수렴(컨버전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화 앱 전성시대에 종이 단행본이 필요한 이유
왜 만화 앱의 비즈니스 모델이 비슷해지는 것일까?
사업의 목적을 잃어버린 것 아닌가?
브랜드 구축을 위해 깔아야 할 자금
브랜드 구축을 위해 없애야 할 군더더기
5장: 만화의 창구화 전략
만화의 창구화 전략을 어떻게 세울지 생각해보자
정기 구독과 구독(서브스크립션 모델의 사용처
‘편집부’가 아닌 ‘사업실’로의 의식 개혁과
앱이 불러온 만화 비즈니스의 변화와 미래를 분석한 유일한 전망서!
과거 만화 비즈니스는 잡지와 단행본 중심으로 돌아갔다. 그런데 인터넷이 발달하고 모든 정보를 온라인에서 접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만화 역시 웹으로 전장을 옮겼다. 이후 웹툰이 생기면서 한국의 만화 시장은 급변했고, 만화를 볼 수 있는 전용 앱까지 등장하면서 잡지는 만화 비즈니스의 중심에서 완전히 물러나게 되었다. 그렇다면 한국보다 만화 시장 규모가 큰 일본의 사정은 어떨까?
전작 『웹소설의 충격』에서 웹소설 시장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력을 보여준 저자가 이번에는 앱의 등장으로 큰 전환기를 맞이한 만화 시장을 분석한다. 이 책에서는 변혁의 와중에 있는 만화 비즈니스의 밑그림을 제시하고, 본질적인 변화는 무엇인지, 또 이 파도 속에서 무엇이 열쇠가 될 것인지를 관계자들에 대한 면밀한 취재와 상세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뜨겁고도 냉정하게 논한다.
만화 앱의 등장으로 수익화 방식은 어떻게 바뀌었나
1장에서는 만화 앱을 ① 타사 신작을 연재하는 플랫폼 기능 ② 기간을 판매하는 스토어 기능과 타사 구작을 연재하는 플랫폼 기능 ③ 자사 신작 연재 기능 ④ 커뮤니티 기능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고, ‘라인만화’, ‘픽시브코믹’ 등 일본의 대표적인 만화 앱들의 운영 방식을 정리하면서 이들이 등장한 이후 출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과제를 들여다본다. 이와 함께 만화 앱 전성시대에 브랜드 장사가 어려워진 이유와 만화가 지망생의 움직임이 이전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설명한다.
2장에서는 만화를 한 편씩 판매하는 화별 판매, 앱 내부에 광고 삽입, 굿즈 판매, 게임 제작 등 만화 앱 시대에 접어들면서 다양해진 수익화 수단과 그 특징을 소개한다. ‘화별 판매’, ‘동영상 광고’와 같은 저단가 비즈니스와 ‘굿즈 판매’,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고단가 비즈니스를 비교해 각각 어떤 상황에서 활용하면 좋은지 설명한다. 더불어 광고로 수익을 올리는 방식이 만화와 잘 맞아떨어진 이유도 살펴본다.
3장에서는 특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