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총론
01 포스트 코로나 지속가능발전, 상생과 환경화 (이영한
02 감염병의 역사와 포스트 코로나 (이규원
03 대중으로부터의 자유 그리고 자연이 주는 자유를 찾아서 (양명수
04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미래 (한상진
05 코로나19 이후 한국경제의 진로 (표학길
2부 세계 각국의 방역성과 평가
06 코로나19 방역과 국가 이미지 탈바꿈 (한상진
07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본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성과의 국제비교 (김태종
3부 방역과 치료
08 코로나19로 인한 의료시스템 및 제약산업의 전망 (강건욱
09 포스트 코로나와 공중보건 (강은정
10 코로나19와 심리방역 (장은진
4부 문화와 교육
11 코로나19의 도전과 바뀌는 문화예술 (김규원
12 코로나19와 지속가능한 문학 (김소임
13 포스트 코로나와 지속가능한 디자인 싱킹 (이혜주
14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와 교사의 재발견 (홍미화
5부 사회와 환경
15 코로나19로 바뀐 일상과 미디어 소비 행태 (김명중
16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투표 (지재식·심선영
17 포스트 코로나와 치안 (서진석·이상훈
18 코로나19 이후 환경법제의 변화 (고문현
6부 경제와 IT
19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금융계 위기와 혁신 (김성엽
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산업 전망 (김수욱
21 언택트 혁명 (문형남
7부 외교와 남북
22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대응 (김연규
23 북한의 코로나19 현황과 포스트 코로나 대응 (김흥광
8부 가족과 집
24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가족 (함인희
25 코로나19 이후 집, 개인화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진화 (두주연
26 코로나19 이후, 사회 양극화와 주택시장 (김우진
27 새로 쓰는 지속가능발전 주택정책 (이영한
코로나19가 지구촌을 급습했다.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는 지구촌 구석구석까지 인간을 숙주로 급속하게 전파되었다. 코로나 팬데믹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불행한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셧다운과 록다운으로 인적이 사라져버린 도시는 텅빈 콘크리트 세트장이 되어버렸다. 어린이들이 급우들과 재잘되던 교실은 텅 비었고, 한창 학업에 몰두해야 할 청소년들은 학교에 들어갈 수조차 없게 되었다. 청년들은 취업 한파에 ‘코로나19 세대’, ‘저주받은 세대’라고 한탄하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나라에 따라서 심할 경우 확진자의 치사율이 10%를 상회한 이 대재앙은 믿어왔던 문명 세계의 미래에 대해 의심을 가지게 하기에 충분했다.
앞일에 대해 도저히 알 수 없는, 절벽 끝에 다다른 듯한 공포가 압도하던 2020년 3월 말경 지속가능발전에 관심을 갖고 있는 몇 사람이 모여 코로나19에 대한 집필 논의를 시작해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각계의 대표 학자 27인을 모시고 공동 집필을 추진하기로 했다. 모든 필자는 이 위기를 딛고 더 나은 대한민국으로 나아가자는 의지, 청년들에게 지속가능한 세상을 물려주고 싶다는 충정으로 집필에 참여했다. 집필의 틀은 코로나 팬데믹 상황을 분석하고, 코로나19 이전을 성찰하면서 코로나19 이후를 전망하는 것으로 정했다. 집필대상 범위는 지속가능발전의 3지지대(The Three Pillars of Sustainable Development인 사회, 경제, 환경을 포괄했으며, 총론, 세계 각국의 방역성과 평가, 방역과 치료, 문화와 교육, 사회와 환경, 경제와 IT, 외교와 남북, 가족과 집 총 8부로 구성했다.
1부 ‘총론’에서 이영한은 지속가능발전 측면에서 코로나 팬데믹과 포스트 코로나를 총괄했다. 이규원은 동서양 역사에서 감염의 역사를 개괄하고 포스트 코로나를 전망했다. 양명수는 코로나 팬데믹을 문명 성찰의 기회로 보고 자유와 자연 회복을 이야기했다. 한상진은 한국의 잠재역량 분석과 함께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