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서평
이 책에는 멜란히톤의 「신학총론」(Loci Communes과 부처의 「그리스도 왕국론」(De Regno Christi이 소개되어 있다. 루터로부터 시작되는 종교 개혁이 있은 후, 중세까지의 표준적인 교리를 대체할 새로운 교리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멜란히톤은 1521년 루터의 종교 개혁 사상을 주제별로 설명한 「신학총론」을 저술했다. 안양대학교 이은선 교수는 멜란히톤의 「신학총론」에 대해서, 종교 개혁 이후 종교 개혁 진영에서 신학의 주제를 조직적으로 설명한 첫 번째 저술이었으며, 종교 개혁 진영의 조직신학 저...
이 책에는 멜란히톤의 「신학총론」(Loci Communes과 부처의 「그리스도 왕국론」(De Regno Christi이 소개되어 있다. 루터로부터 시작되는 종교 개혁이 있은 후, 중세까지의 표준적인 교리를 대체할 새로운 교리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멜란히톤은 1521년 루터의 종교 개혁 사상을 주제별로 설명한 「신학총론」을 저술했다. 안양대학교 이은선 교수는 멜란히톤의 「신학총론」에 대해서, 종교 개혁 이후 종교 개혁 진영에서 신학의 주제를 조직적으로 설명한 첫 번째 저술이었으며, 종교 개혁 진영의 조직신학 저술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첫 번째 시도였다고 평가한다. 멜란히톤은 그의 「신학총론」에서 “모든 철학은 어둠과 비진리다”라고 비판하며 중세 스콜라신학을 비판하는데, 독자들은 이 저술을 통해서 멜란히톤이 어떻게 스콜라신학을 대신하는 종교 개혁 사상을 제시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부처의 「그리스도 왕국론」에는 영국 교회 개혁의 청사진이 제시되어 있다. 루터는 개인이 구원을 받는 과정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지만, 성도들의 치리에는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부처는 성도들의 개인적인 생활뿐만 아니라 시나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치리를 통한 개혁을 강조했는데, 바로 이러한 부처의 개혁 청사진이 잘 나타나 있는 것이 「그리스도 왕국론」이다. 이은선 교수는 부처의 「그리스도 왕국론」이 “국가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