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교육사상과 포스트모던
1. 교육학과 포스트모던_1
2. 포스트모던과 포스트모더니즘_8
3. 교육학의 포스트모던 사상_15
4. 이 책의 대상과 범위_25
1장 포스트모더니즘과 규범의 상실?: 교육철학의 포스트모던 사상 수용
도입: 망각의 포스트모더니즘 33
1. 이스케이프 부호esc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_35
2. 밀교秘敎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_41
3. 규범주의의 단절과 연결_46
4. 수행(performative이 아닌 진술(constative로_54
5. 포스트모더니즘의 커다란 유산_59
결론을 대신하여: 육화된 포스트모더니즘 65
2장 근대비판, 미완의 프로젝트 : 교육철학은 근대를 어떻게 논해왔는가
서론: 교육철학에서 근대론의 전개 69
1. 아이러니로서의 근대: 1960년대_71
2. 근대주의의 등장: 1970년대_75
3. 근대주의의 전성기: 1980년대_78
4. 근대비판의 전개: 1990년대_83
5. 근대비판을 넘어: 2000년대_89
결론을 대신하여: 근대비판, 미완의 프로젝트 94
3장 근대교육학 비판이란 무엇이었나: 교육사상사의 과제와 방법에 기대어
서론: 망각의 유혹에 저항하여 97
1. 왜 ‘근대’의 ‘사상사’인가?_100
2. ‘전후교육학의 근대’ 비판_105
3. 교육사상사에서 교육인간학으로?: 근대교육학 비판의 전개_113
4. 근대교육학 비판의 실제성_120
결론을 대신하여: 성찰과 대화의 근대교육학 비판 125
4장 언어론적 전회 이후의 교육사상사: 혹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어떤 점이 불가不可한가?
서론: 포스트모던을 경유한 후 교육 비판은 가능한가? 127
1. 교육사상은 비판의 근거를 획득한 것인가?_129
2. 언어론적 전회 이후의 교육사상사: 말해지지 않은 규칙_136
3. ‘언어론적 전회 이후의 교육사상사’로부터: 갱신의 역사로_146
결론을 대신하여: ‘근원적으로 상실된 무엇인가’와의 거리 151
5장
최승현 교수께서 이 책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에 이르게 되어 대단히 기쁩니다. 최 교수님과 저는 한국과 일본의 교육학을 나누는 가운데 만났습니다. 우리는 이런 학술적·문화적인 국제교류를 더 심화해 가고자 합니다. 이 책은 1950년 무렵부터 현대까지 일본 교육학의 동향을 분석한 것입니다. 한국의 독자 여러분에게도, 저에게도 가슴 아픈 일이지만 일본의 교육학사를 말하기 위해서는 어찌 됐든 한국과 일본의 역사를 직시하는 일에서 시작해야만 합니다. 한국과 일본 사이에는 불행한 과거가 있습니다. 메이지 유신부터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에 이르기까지 일본은 한국을 부당하게 대우하였습니다. 일본인은 이 과거를 과소평가할 수 없습니다. 이 과거는 아직 지나가지 않았습니다. 현재에도 일본이 과거에 한국에 대해 자행한 행위를 용서할 수 없다고 느끼는 분들이 있음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런 분들의 기대는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인이 이런 현실을 외면하는 것은 결코 허락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교육은 자국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국제적인 평화를 지향해야 합니다. 이 책의 키워드 중 하나인 ‘전후교육학’은 1950년 무렵 생겨난 일본의 독자적 용어입니다. ‘전후교육학’은 메이지 유신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의 교육 방식을 반성하고 평화를 향한 염원을 새롭게 다지는 지점에서 출발합니다.(이하의 내용은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도 논의하겠지만,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위해 여기서도 조금 상세히 설명하려 합니다. 마지막 장을 이해하기 쉬울 것으로 생각합니다.
모두 동의하는 바와 같이, 일본은 메이지 유신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제국주의적이고 군사주의적인 국가였습니다. 여러 교육학자나 교사들은 전쟁을 원치 않는 마음에도 불구하고 협력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패전을 계기로 미국의 실질적인 점령기관인 연합국 군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의 지도로 다시는 전쟁을 하지 못할 평화 국가로 변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일본은 전쟁의 피해자일 뿐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