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1부 점령정책(1945~1948
1장_주한미군정의 점령정책과 법률심의국의 활동
1. 헤이그규약과 미국의 남한 점령계획
2. 주한미군정의 기구 개편과 점령정책 입안 과정
3. 법률심의국의 인적 구성
4. 법률심의국의 역할, 점령행정 체계화
5. 맺음말
2장_10월 항쟁과 조미朝美공동회담
1. 식량 부족과 미온적인 친일파 청산
2. 10월 항쟁에 대한 시각차
3. 조미공동회담의 구성과 논의 내용
4. 회담의 ‘예견된 실패’와 단독정부 수립의 그림자
3장_점령과 분단의 설득기구-미군정 공보기구의 변천(1945.8~1948.5
1. 한국인을 설득하라: 개혁 유보와 남한 단독정부 수립
2. 미군정의 점령 통치와 홍보
2-1. 공보부 창설
2-2. 공보부의 조직과 역할 그리고 한계
2-3. 10월 항쟁 이후 공보 조직 개편과 지방 활동 확대
3. 미국의 대한정책과 분단 설득하기
3-1. 주한미군사령부 공보원 창설과 공격적 역선전
3-2. 미국의 남한 단독정부 수립정책과 공보원 지원 강화
3-3.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과 공보원 지부의 설립
3-4. 제헌선거 홍보 위해 공보원 지부 대거 동원
4. 정부 수립 이후 공보부.공보원의 유산
4장_미군정의 면방직공업 정책과 그 영향
1. 미군정이 면방직공업을 중시한 까닭
2. 해방 직후 면방직공장의 기계 소리가 멈춘 이유
3. 경제 통제정책의 시험대 “면직물 가격을 잡아라”
4. 1946년, 가격 이원화와 대규모 공장 중점 지원 병행
5. 1947년, 조선방직협회 중심 민간 역할 확대
6. 대외의존성의 확대와 독점구조 형성
2부 점령기 한국 사회(1945~1948
1장_‘조선정판사사건’을 보는 또 다른 시각-〈재심 청구를 위한 석명서〉를 중심으로
1. 사건 개요
2. 〈석명서〉의 주요 내용
2-1. 고문에 의한 강제 자백
2-2. 위폐 제조 사실 자체에 대한 의문점
2-3. 조공朝共은 과연 위조지폐를 어디에 썼는가
3. 〈석명
미군정 사법부 법률심의국에서 한미경제안정위원회까지
실증 자료를 바탕으로 ‘해방 5년’의 세밀화를 그리다
《해방전후사의 인식》의 문제의식을 잇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망으로 ‘선물’처럼 다가온 해방. 하지만 해방은 곧바로 외국 군대의 분할 점령으로 이어졌다. 해방의 감격과 점령의 엄중함이 공존했고, 양자가 서로 교차했다. ‘해방의 공간, 점령의 시간’이라는 제목은 그 복잡한 역동의 시기를 함축한 비유적 표현이자, 당대인들이 그것을 어떻게 체감하고 대응했는지 구체적으로 해명해야 한다는 필자들의 문제의식을 반영한다.
새 국가 건설, 사회개혁을 둘러싼 열망이 끓어 넘치고, 이념 갈등과 생계 걱정이 맞부딪치던 70여 년 전, 이 땅의 민초들은 무슨 생각을 했고, 어떻게 살았을까. 이들이 이후 한국 현대사 흐름에서 주체이자 객체로 작용한 만큼 당연히 지대한 관심을 모을 수밖에 없다.
이런 한국현대사 연구는 7, 80년 출간된 《해방전후사의 인식》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다. 이른바 《해전사》는 해방 공간의 민족과 민중을 변혁적 주체로서 다시 불러냄으로써 학계는 물론 청년?지식인층의 개안開眼을 가져왔다. 한국현대사 연구도 이에 힘입어 1990년대까지 미국과 소련의 대한對韓정책과 점령 통치, 남북한 주요 정당?사회단체들과 지도자들의 활동, 남북한 경제구조의 변화 등에 대한 굵직한 연구가 축적되었고 2000년 전후부터는 사회사와 일상사 분야까지 연구가 확장되었다.
그러나 해방 5년에 대한 연구 축적과 연구 영역 확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명되지 못한 영역이 상당수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은 《해전사》의 문제의식과 궤를 같이하면서 실증 자료를 바탕으로 법률심의국, 조미공동회담 등 그간 해방시기 관련 연구에서 소홀히 다뤄졌던 미군정의 점령정책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조명해 《해전사》의 여백을 메우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 책의 특장
구체적인 자료, 입체적 분석
법률심의국, 조미공동회담, 공보기구, 면방직공업 같은 사법?정치?홍보?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