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글
서론
무엇을 다룰 것인가 - 세 가지 내용: 역사 ? 성경 ? 대응
한국의 기독교와 정치 관계의 겉모습 세 가지 ? 논의의 배경
1부 ? 한국의 기독교와 정치의 관계는 어떻게 진행되어 왔나
1장 기독교 전래에서 해방까지 ? 전통과 서양 사상의 만남
1 ?기독교 전래에서 조선 말기(18세기 말~1910:
천주교의 고난의 길, 개신교의 동반의 길
2 ?한일합병 기간(1910~1945: 천주교의 순응과 개신교의 훼절
2장 해방 이후 2020까지 - 정권별 기독교와 정치의 관계
1 ?미ㆍ소련군 주둔 기간(1945~1948: 해방과 남북한 기독교의 분단
2 ?이승만 시대(1948~1960: 기독교 국가의 추진과 독재로 인한 실패
3 ?장면 시대(1960~1961:
천주교 총리, 그리고 자유와 무질서의 짧은 간주곡
4 ?박정희 시대(1961~1979: 군사독재체제와 보수 개신교의 반공 연합
5 ?전두환 시대(1980~1988: 군사독재체제와 보수 개신교의 연합 계속
6 ?노태우 시대(1988~1993:
민주화 전환기, 진보와 보수 개신교의 공식적 분리
7 ?김영삼 시대(1993~1998:
문민 대통령의 경제 실패와 개신교의 영향력 확인
8 ?김대중 시대(1998~2003: 진보 정부와 보수 개신교의 갈등
9 ?노무현 시대(2003~2008: 보수 개신교의 진보 정부 공격
10 ?이명박 시대(2008~2013: 보수 정부와 보수 개신교의 귀환
11 ?박근혜 시대(2013~2017: 대통령 탄핵과 극우 개신교의 탄핵 반대
12 ?문재인 시대(2017~:
3기 진보 정부의 쉽지 않은 여정, 보수 개신교의 극우 정치활동
3장 한국 기독교와 정치 관계의 특징 그리고 과제
1 ?한국 기독교와 정치 관계의 시대별 특징
2 ?한국 기독교와 정치 관계의 일반적 특징
3 ?한국 기독교의 현 단계 과제
2부 ? 기독교는 정치를 어떻게 보는가
4장 왜 기독교인들은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나
5장
기독교 전래에서 해방까지
조선이 ‘하나님’의 존재에 대해 모르고 있었던 때에 서양 문물과 함께 기독교가 들어왔다. 기독교는 유교와 불교 사상의 조선에는 맞지 않는 사상이었기에 박해를 받기도 하였으나, 경험해 본 적 없는 문물과 기술로 환대를 받기도 하였다. 박해와 환대 속 기독교가 보인 순응, 훼절, 저항들은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 기독교인들에게도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한국 기독교는 정치에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하나
보수와 진보, 그를 지지하는 교단들. 각자의 영역이 있으며 역할이 있다. 무조건 내향적으로 행동하며 정치에 참여하는 기독교인을 나쁘게 바라봐서도 안 되며, 복음의 본질을 잊고 교회보다 세간에 관심을 갖고, 기도보다 운동에 힘을 써서도 안 된다. 이분법적으로 보수와 진보를 나눠서 볼 것이 아니라 각자의 영역을 존중하되, 본질을 잊지 않는, 개인, 교회, 사회에 기독교 윤리를 실천하고자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