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들어가기
제1장 사회적 가치의 다차원적 구조 _박명규
제1부 사회적 가치와 시장경제
제2장 시장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공동체를 이야기하기 _최정규
제3장 생존을 넘어 사회적 가치로 _김홍중
제4장 사회적 자본의 경제적 중요성 _김병연
제5장 데이터 경제 시대의 사회혁신 _강정한
제2부 사회적 가치의 한국적 실천
제6장 사회적 경제의 조건: 원주와 홍성의 교훈 _엄한진
제7장 창조성과 공공성의 긴장: 문화예술협동조합의 사례 _조형근
제8장 사회의 혁신과 세대의 역할 _이원재 A
제9장 지방정부의 사회적 가치 확산: 서울시의 의사소통형 정책 거버넌스의 사례 _이원재 B
제3부 사회적 가치와 다면적 사회혁신
제10장 공공가치 융합시대의 사회혁신 _장용석·황정윤
제11장 기업활동의 사회적 가치 측정: 화폐가치 환산을 중심으로 _라준영
제12장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적정기술 _윤제용
제13장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성 _한상진
나가기
제14장 시대적 전환과 사회적 가치 _이재열
경제적 가치가 지배하던 고도성장기, 정치의 가치가 지배하던 민주화 시기를 거친 한국은 이제 사회적 가치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성장과 민주화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많은 문제들이 쌓여 있고, 이를 풀어나가려면 대대적인 사회혁신이 필요하다. 사회적 가치가 한국 사회에 새로운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는 증상들은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19대에 이어 제20대 국회에서는 ‘공공부문의 사회적 가치 증진’을 표방하는 법안이 발의되어 논의 중이다. 2018년 1월 문재인 대통령은 향후 정부정책의 중심을 ‘사회적 가치’에 두겠다고 했다. 행정자치부 장관도 사회적 가치가 정부 운영의 중심이라고 선언했다. 예산 편성이나 인사의 기준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공공기관의 실적평가에서 사회적 가치 항목의 비중도 늘리기로 했다. 여러 공공기관에서 사회적 가치 전담 부서를 만든다는 소식도 들린다. 공공부문만이 아니다. 한국의 대표적 기업그룹 중 하나인 SK는 재무적 가치와 더불어 사회적 가치를 기업 운영의 더블바텀라인(Double Bottom Line: DBL으로 설정하도록 정관을 개정했다. 금융시장도 급변하고 있다. 수익을 올리는 일 외에 공공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사회적 가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임팩트 금융’이 2018년에만 4000억 원이 넘는 투자금을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론들이 전한다.
그런데 사회적 가치가 무엇인지, 왜 그것을 추구해야 하는지,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는 불충분하다. 일각에서는 사회적 약자, 소외된 계층을 지원하는 정부정책의 공공성을 사회적 가치로 간주한다. 혹자는 영리기업과 달리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사회적 가치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회적 가치는 사회적 기업이나 사회적 경제, 또는 공공성을 내세운 사회정책과 동일시될 수 없다.
그렇다면 사회적 가치란 무엇인가? 그것은 21세기의 시대정신이다. 사회적 흐름을 견인할 근원적이고도 미래지향적인 기획의 잣대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로 표상되는 기술문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