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롤로그. ‘선택’에서 ‘선택하지 않음’으로
자유로서의 사랑
자유에 대한 비판의 불만
선택의 문제
부정적 선택
2. 전前근대의 구애, 사회적 확실성 그리고 부정적 관계의 발생
사회학적 구조로서의 구애
사회학적 구조로서의 확실성
소비의 자유로서의 성적 자유
새로운 사회적, 성적 문법
3. 혼란스러운 섹스
캐주얼 섹스와 그 규정하기 어려운 효과
캐주얼 섹스와 불확실성
불확실성과 부정적 사회성
4. 존재론적 불확실성의 부상
몸의 가치
상징 가치와 경제 가치의 생산
평가
성적 평가절하
평가 기준의 변화
주체의 혼란스러운 지위
5. 한계가 많은 자유
무엇에 동의?
혼란스러운 의지
변덕스러운 감정
의견을 말하기보다 탈출을
신뢰와 불확실성
6. 부정적 관계로서의 헤어짐
사랑의 끝
이혼 그리고 감정 영역에서 여성의 위치
이별의 서사 구조
섹슈얼리티: 거대한 분리
소비 대상: 이행 대상에서 출구 대상으로
자율성과 결합: 힘겨운 커플
감정 존재론과 결속력 없는 감정 계약
감정 능력 그리고 관계 형성 과정에서 여성의 위치
에필로그. 부정적 관계와 섹스의 나비 정치
감사의 말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해제―‘쉽게’ 만나고 ‘쿨하게’ 헤어지는데, 누가 왜 괴로워하는가
■ 20여 년간 연구해온 감정사회학의 대미를 장식하는 저작
『사랑은 왜 끝나나』는 에바 일루즈가 20여 년간 연구해온 감정사회학의 대미를 장식하는 저작으로, “어떻게 자본주의가 성적 자유를 점령해, 성적 관계와 낭만적 관계를 유동적이고 혼란스럽게 만들었는가”(48쪽를 해명한다.
■ 사랑 없는 사회에 대한 사회학자의 탐문
『사랑은 왜 끝나나』는 제목이 시사하듯이 현대 사회에서 사랑이 끝나는 과정(unloving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한다. 여기서 ‘사랑의 끝남(냄’ 또는 ‘사랑의 부재’는 이별의 구체적 과정과 원인을 말하고 있다기보다는 이 형식이 어떻게 현 사회의 주체성이 되었는가를 설명하는 데 초점이 있다. 지금의 사회학은 영원한 가치로 추앙받은 ‘사랑’을 이렇게 변화시킨 원인이 무엇인지 탐문해야 한다는 게 저자 에바 일루즈의 문제의식이다.
■ 성적 자유, 규범ㆍ제도ㆍ관계를 흔들다
자유의 영역에 진입한 섹슈얼리티, 즉 성적 자유는 기존에 존재하는 규범과 제도를 흔들었다. 성적 활동의 가능성과 대안이 많아졌고, 자연히 만남과 이별은 쉬워졌다. 결혼 제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비혼과 만혼도 증가했다 이혼은 더 이상 도덕적 결함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에바 일루즈가 성적 자유의 진짜 문제점으로 지적하는 것은 이 자유가 이성애 관계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 지배를 심화시켰다는 점과, 인간의 가장 내밀한 부분인 섹슈얼리티가 소비자본주의에 포섭되었다는 점이다.
■ 남성 지배를 뒷받침하는 성적 자유의 기이한 역설
섹슈얼리티는 여성 정체성과 쉽게 결합하는데(‘여성의 아름다움과 섹시함’ ‘여성 몸의 스펙터클화’, 여성은 젠더 역할에서 돌봄 윤리를 강요받는 동시에 성적 가치를 함께 지녀야 하는 이중적 구속 상황에 처하게 된다. 여성은 가정과 사회에서 여전히 상이한 지위와 역할을 떠맡는다. 다시 말해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상징 권력(‘미모’, ‘몸매’ 등이 되기도 하지만 사랑과 경제 활동에 공히 필요한 조건이 됨으로써 사실상 남성의 욕망을 충족시키고 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