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부 서론
제1장 왜 안은미의 춤이어야 하는가?
제2장 한국의 ‘춤작가’ 연구 어디까지 왔나?
제2부 안은미의 춤 세계
제1장 춤꾼 안은미의 시작
제2장 안은미 춤의 정거장
1. 춤을 찾아서 <사막에서 온 편지>
2. 대구시립무용단 예술감독 <하늘 고추>
3. 미니멀한 움직임과 물화된 육체성
4. 너희가 막춤을 알아-커뮤니티 댄스
제3부 안은미 춤의 수행적 특성
제1장 수행성의 개념과 수행적 공연의 주요 전략
1. 신체적 공동 현존이란?
2. 공연에서의 물질성-몸성/육체성
3. 미학적 경험-지각의 급변과 의미의 창발
제2장 안은미 춤의 특징적 사례들
1. 춤의 B급 마이너리티
2. 몸과 영상이 만나는 춤
3. 춤에서의 언어 사용과 자기 이야기하기
4. 아방가르드와 키치의 경계
5. 가슴을 풀어헤친 <新춘향>
6. 춤의 야단법석-커뮤니티 댄스 프로젝트
제4부 결론
결론 ‘춤꾼’이자 ‘춤작가’ 안은미
? 안은미의 주요 작품 목록
? 참고문헌
? 찾아보기
독창적 아이디어와 창조력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춤 세계를 구축하며 우리나라 무용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현대무용가 안은미의 모든 것을 알아본다. 저자는 1986년 <씨알>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무용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안은미의 춤을 시기적으로 분류하여 연구한 결과를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현대무용의 품위를 훼손했다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무용계의 기존 관행과 예술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자신만의 견고한 작가정신을 지켜온 안은미의 춤작가적 경향은 주목할 만하다. 저자는 한국 현대무용을 주도하고 있는 안은미를 연구함으로써 작가론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한국 무용계의 현실도 지적한다.
1부에서는 한국 무용계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며 ‘춤작가’의 개념을 논의한다. 2부에서는 안은미 춤과 내용에 변화가 있었던 시기에 따라 그의 행보를 4개의 정거장으로 나누어 면밀히 고찰했다. 대학 졸업 후 다양한 매체에 자신의 춤을 선보였던 첫 번째 정거장, 시립예술단체의 예술감독으로 있으며 각종 공연과 행사를 치른 두 번째 정거장, 대구시립무용단 예술감독을 사임하고 전통적 소재를 패러디하여 춤의 확장을 병행하던 세 번째 정거장, 2010년 ‘안은미컴퍼니’를 설립하여 커뮤니티 댄스에 집중한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3부에서는 안은미 춤의 수행적 특성을 통해 그의 공연에 나타나는 예술적 특징과 연출전략을 살펴보았다. 그는 실험적이고 도발적인 공연을 통해서 자신만의 춤 세계를 확장하여 대중과의 소통을 이루어낸다. 아울러 정형주의와 엄숙주의로 점철된 한국 현대무용의 경계를 지우고, 대중들에게 친숙한 소재와 방식을 통해 현대무용의 표현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
책 속으로
작가(作家의 언어적 의미가 집을 짓는 사람이라면, 춤작가는 춤으로 자신의 집을 짓는 사람이다. 다시 말해 춤작가는 독창적 아이디어와 창조력으로 자신의 농축된 춤 세계를 지어야 한다. 여기에는 기존의 안무 기법에서 벗어난 자신만의 개성을 갖춘 창작 춤 아이디어가 필요하며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