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하이데거와 인간실존의 본래성 본래성과 퇴락의 양립 가능성에 대하여
저자 설민
출판사 한국학술정보(정리중
출판일 2009-11-30
정가 17,000원
ISBN 9788926805572
수량
목차
머리말
서문_실존문제와 그에 대한 두 가지 철학적 대응 유형
제1장 도입
1. 본래성과 퇴락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
1.1. 현존재와 그 본질로서의 실존
1.2. 본래성과 퇴락에 대한 잠정적 해석
1.3. 문제제기
2. 네 가지 가능한 입장들
3. 본론의 소개
제2장 기존의 주요 연구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퇴락과 본래성의 양립을 거부하며 본래성의 지속성을 인정하지 않는 입장
1.1. 입장의 재구성
1.2. 비판 A: 본래성의 지속성을 시사하는 전거 제시
1.2.1. “결의의 철회”
1.2.2. “고려하면서 머묾”
1.2.3. “학문의 근원”
1.3. 비판 B: 행위로서의 결의, 반복
2. 퇴락과 본래성의 양립을 거부하나 본래성의 지속성을 인정하는 입장
2.1. 입장의 재구성
2.1.1. 곁에-있음과 퇴락의 구별
2.1.2. 말과 우려 및 말과 시간성의 관계
2.2. 부수적 문제제기: 불안과 무 그리고 허무에 대하여
2.3. 비판: 순간의 순수성의 주장의 한계
3. 퇴락과 본래성의 양립을 인정하나 본래성에서 퇴락이 잠재한다고 보는 입장
3.1. 입장의 재구성
3.1.1. 유한성으로서의 퇴락
3.1.2. 유한성의 적극적인 인수로서의 본래성
3.1.3. 자기와 주체
3.2. 비판: 비본래성에의 경향성으로서의 퇴락 개념의 한계
제3장 퇴락의 제 양상들에 대한 분석
1. 퇴락에 대한 개괄적 규정
2. 드라이퍼스의 퇴락분석
2.1. 퇴락의 세 유형들 및 퇴락과 본래성의 관계
2.2. 퇴락과 자기도피의 문제
2.3. 수용과 비판
3. 의존성 및 공공성, 세상 사람들에 대하여
4. 몰입의 두 방식에 대하여
4.1. 고려되는 존재자에의 몰입
4.2. 공공적 세계에의 몰입
5. 비진리와 퇴락의 격랑에 대하여
제4장 본래성과 퇴락의 양립
1. 제기된 부수적 문제의 해결
2. 본래성으로의 변양
3. 결의성의 지속성에서의 본래적인 행위의 수행
3.1. 결의성의 지속성의 해명 Ⅰ
3.
출판사 서평
자기존재에 관한 실존적 의미에 대한 물음, 다시 말해 실존문제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이 책의 핵심 테제는 독일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가 ‘본래성(Eigentlichkeit’이라는 명칭으로 설정한 인간의 특정한 실존양태와, 흔히 하이데거 연구가들 사이에서 그것에 상반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퇴락(Verfallen’이라는 인간의 근본적 유한성이 상호양립 가능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서문과 도입부, 세 장의 본론 및 짤막한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실존...
자기존재에 관한 실존적 의미에 대한 물음, 다시 말해 실존문제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이 책의 핵심 테제는 독일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가 ‘본래성(Eigentlichkeit’이라는 명칭으로 설정한 인간의 특정한 실존양태와, 흔히 하이데거 연구가들 사이에서 그것에 상반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퇴락(Verfallen’이라는 인간의 근본적 유한성이 상호양립 가능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서문과 도입부, 세 장의 본론 및 짤막한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실존문제가 직접적으로 논의된다. 그 문제에 맞서 철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두 가지 유형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유형의 대표자로서 각각 니체와 하이데거의 대응방식을 소개한다. 먼저, 하이데거가 인간을 어떻게 규정하는가, 즉 현존재(Dasein와 그것의 본질로서의 실존에 대해 논의하고, 하이데거의 인간규정이 종래의 형이상학의 인간규정과 어떤 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른지를 양자의 상이한 시간관에 입각하여 해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인 ‘본래성’과 ‘퇴락’에 관하여 밝히고 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는 첫째, 여러 학자들이 주장하는 제 입장들의 주요 개념들을 다루고 정통한 하이데거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해설한다. 이 과정은 하이데거 전공자들이나 하이데거 사상의 문외한에게도 기초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