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선법의 역사
1. 불교의 삼보와 출가정신
2. 선법의 원류
3. 붓다의 선정수행
4. 사선과 팔정
5. 구차제정
6. 공의 의미
7. 소승불교의 선정
8. 대승불교의 선정
9. 선법의 중국 전래
10. 보리달마의 선법
11. 보리달마 선법의 특징
12. 보리달마와 중국선
13. 보리달마 선법의 전승
14. 초기 선종의 전법상승
15. 도신대사의 선법
16. 우두법융의 선법
17. 홍인대사의 선법
18. 동산법문의 전개
19. 북종선의 출현
20. 북종선의 특징
21. 대통신수의 선풍
22. 남종선의 출현
23. 남악회양의 선법
24. 청원행사의 선법
25. 하택신회의 선법
26. 영가현각의 선법
27. 남양혜충의 선법
28. 선종오가의 출현
제2부 조동종의 원류
29. 석두희천의 선법
30. 약산유엄의 선법
31. 운암담성의 선법
32. 동산양개의 선법
33. 조산본적의 선법
34. 운거도응의 선법
제3부 조동종지의 형성과 전개
35. 조동종의 전승
36. 조동선법의 원류
37.『 참동계』
38.『 초암가』
39.『 보경삼매』
40.『 오위현결』
41.『 삼종삼루』
42.『 삼종타』
43.『 오위군신지결』
44.『 사종이류』
45.『 팔요현기』
46. 운거도응의 조동종지
제4부 묵조선의 형성
47. 묵조선의 출현
48.『 묵조명』
49.『 지유암명』
제5부 묵조선의 성격과 수행
50. 진리의현성〔現成公案〕
51. 가부좌의 수행〔只管打坐〕
52. 심신과 그 자각〔本신證自覺〕
53. 비사량의 좌선〔非思量底〕
54. 신심탈락의 경험〔身心脫落〕
출판사 서평
불교는 현대 인류의 고뇌어린 모든 질문에 답해야 한다.
본 불교수행법 시리즈는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서 엮어간다.
이에 그 첫 번째 책이 나왔다.
불교의 시작은 한 인간의 고뇌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곧 붓다의 생로병사에 대한 깊은 사색의 결과 그 문제의 해결에 직접 나서려는 결연한 의지로부터 출발하여 출기를 하고 수 사람들에게 붓다의 경험과 똑같은 길을 열어주려는 종교로 출현되었다. 이런 점에서 불교는 개개인이 붓다의 가르침에 대하여 몸소 경험하려는 행위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음과 몸의 사유와 수행이 겸비되지 않으면...
불교는 현대 인류의 고뇌어린 모든 질문에 답해야 한다.
본 불교수행법 시리즈는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서 엮어간다.
이에 그 첫 번째 책이 나왔다.
불교의 시작은 한 인간의 고뇌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곧 붓다의 생로병사에 대한 깊은 사색의 결과 그 문제의 해결에 직접 나서려는 결연한 의지로부터 출발하여 출기를 하고 수 사람들에게 붓다의 경험과 똑같은 길을 열어주려는 종교로 출현되었다. 이런 점에서 불교는 개개인이 붓다의 가르침에 대하여 몸소 경험하려는 행위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음과 몸의 사유와 수행이 겸비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것을 추구하고 발전시킨 것이 불교의 수행법이었다.
선은 깨침을 추구하는 종교이다. 불교가 시작된 이래로 불교의 모든 가르침은 일관되게 깨침의 추구를 향한 행위였다. 불교를 구축하고 있는 두 가지 축을 지혜와 자비로 간주할 경우 자비에 중점을 둔 것이 중생제도의 비원이라면 지혜에 중점을 둔 것은 깨침을 위한 수행이다. 그러나 진정한 자비는 처음부터 지혜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부파불교 뿐만 아니라 대승불교에서도 깨침을 궁극의 목표로 삼았다. 따라서 깨침을 목표로 삼지 않는 가르침은 불교가 아니었을 정도이다.
이와 같은 선법의 특징을 가장 잘 구현시킨 선풍이 조사선(祖師禪이다. 조사선은 달마조사로부터 전승된 가풍을 가리킨다. 조사선은 이후 당나라 시대에 더욱더 다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