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문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목적
문헌고찰
2장
제1절 여성정신장애의 이해
1. 정신장애에 대한 관점
2. 여성정신장애를 설명하는 관점
3. 여성정신장애의 특성 및 욕구
제2절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
1. 정신장애인과 모성
2. 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연구방법 및 절차
3장
제1절 연구방법
1. 현상학 연구
2. Giorgi의 현상학 연구방법
제2절 연구설계
1. 표집방법 및 연구 참여자 선정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3. 자료 수집
4. 자료의 분석과정
5. 연구자의 선이해 및 윤리적 고려
6. 연구평가기준-질적 연구의 엄격성
연구결과
4장
제1절 여성정신장애인 모성경험의 상황적 의미구조
1. 결혼과 출산 과정(이끌려 들어가기
2. 재발과 가족의 희생(혼란에 빠짐
3. 역할긴장과 부담(이고 지고 가기
4. 낙인과 소통의 어려움(차가운 벽 앞에 서기
5. 지지체계의 지원 및 요구(도움닫기
6. 대처와 적응(고군분투
7. 어머니 됨의 인식(버팀목 세우기
8. 사회적 인정과 자아 확장(세상 속으로 나아가기
제2절 여성정신장애인 모성경험의 일반적 의미구조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5장
제1절 결혼과 임신을 통한 모성경험
제2절 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 모성경험
제3절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 모성경험
결 론
6장
제1절 연구결과
제2절 연구의 함의
1. 이론적 함의
2. 실천적 함의
3. 정책적 함의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1 면접지침안
부록2 연구 참여 동의서
부록3 분석단계 참고-의미단위화의 예
부록4 분석단계 참고-중심의미 기술의 예
부록5 구성요소 도출과정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우리 사회에서 여성정신장애인이 ‘여성’과 ‘정신장애’라는 ‘이중 역할’ 혹은 ‘이중의 정체성’을 안고 다중의 차별과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여성정신장애인의 경우 모성의 욕구와 권리는 상대적으로 무시되어 왔다. 오히려 정신질환의 병리적 특성과 자녀에게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에 대한 편향된 관심으로 정신장애인의 임신과 출산, 양육의 욕구는 가치 절하되고, 사회적 편견과 차별의 대상이 되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을 다룬 책은 거의 없다. 모성경험뿐 아니라 여성정신장애인의 욕구...
이 책은 우리 사회에서 여성정신장애인이 ‘여성’과 ‘정신장애’라는 ‘이중 역할’ 혹은 ‘이중의 정체성’을 안고 다중의 차별과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여성정신장애인의 경우 모성의 욕구와 권리는 상대적으로 무시되어 왔다. 오히려 정신질환의 병리적 특성과 자녀에게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에 대한 편향된 관심으로 정신장애인의 임신과 출산, 양육의 욕구는 가치 절하되고, 사회적 편견과 차별의 대상이 되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을 다룬 책은 거의 없다. 모성경험뿐 아니라 여성정신장애인의 욕구 및 특성을 다룬 책이 거의 없는 현실에서 이 책은 이들 여성정신장애인 고유의 욕구 및 특성, 경험을 최초로 탐색하였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특히 그간의 정신보건 현장에서 개별 정신장애인의 욕구가 탐색되지 못하고 성별 인식과 사회적 가치체계가 다른 맥락적 고려가 부족했던 현실에서 여성 중심적 관점에서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을 다룬 것은 여성정신장애인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확산시키고, 후속 연구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 중요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이는 여성정신장애인의 삶의 맥락 안에서 사회적 욕구와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정신보건 분야의 성인지적 감수성(gender-sensitive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결론 부분의 실천적 제언은 보다 여성중심적인 실천전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