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글
서장
1. 고백
2. 법치주의 · 법문화 그리고 시대정신
3. 파라다임의 전환
제1부 한국 법학의 반성
제1장 우리는 어떤 법학을 해왔는가?
1. 들어가는 말
2. 한국법에 있어서의 외국법학의 문제
3. 법치주의 개념에 대한 재검토
4. 외국에서 수입한 법치주의의 개념을 사용한 예로서의 러시아에 있어서의 법치주의
5. 한국문화에 있어서의 법치주의의 의미
6. 서양법 전통에 있어서의 고차법(高次法
7. 우리나라 법학에 대한 몇 가지 성찰8. 한국법학에 영향을 미친 19세기 도이치에 소개된 법치주의
9. 이 장의 요약
참고문헌
제2장 서양법 전통의 방법이원론의 역사와 방법이원론이 한국 근현대 법학에 미친 영향
1. 들어가는 말
2. 형이상학적 이원론과 자연법
3. 근대 자연법의 특징
4. 형이상학적 이원론의 전통과 법학에서의 방법이원론
5. 자연적 이치와 조리
6.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서양법 전통에 있어서의 실정법과 자연법의 관계
1. 서문(Introduction
2. 실정법의 효력의 문제-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
3. 서양 근대에 있어서의 법의 성립과 효력의 문제-아메리카와 프랑스 혁명
4.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법실증주의 영향-메이지 헌법과 식민지 법학 교육
5. 절대...주의 법학과 존재와 당위의 이원론
6. 계몽적 전제군주 체제에서의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의 관계
7. 근대 자유주의적 자연법론에서의 자연법과 법실증주의-법 개념의 역사성, 시대성
제2부 한국 강단 법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세계사의 맥락에서의 관찰
제1장 법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1. 보편과 특수
2. 유럽에 있어서 형식적 법치주의(形式的 法治主義의 발달
3. 명목적 법치주의와 형식적 법치주의(形式的 法治主義의 결합
4. 전쟁 이전의 도이칠란트에 있어서의 법치국가 개념
5. 한국의 법치주의가 제2차 세계대전 후에도 전쟁 전의 특수한 지역적, 국가적 법치주의 언어를 계속 사용한 이유
제2장 공법의 역사
1. 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