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기존 연구의 검토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3. 연구의 구성
제2장 북한이탈주민의 이론적 고찰
제1절 북한이탈주민의 정의 및 특이성
1. 북한이탈주민의 정의
2. 북한이탈주민의 특이성
제2절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지원정책
1.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2.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정책
제3장 연구절차 및 윤리적 고려
제1절 내러티브 탐구 절차
1. 현장으로 들어가기(Being in the Field
2.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From Field to Field Text 그리고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Composing Field Text
3.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From Field Text to Research Text 그리고 연구 텍스트 구 성하기(Composing Research Text
제2절 연구 신뢰성 및 윤리적 고려
1. 연구 타당성과 신뢰성
2.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제4장 연구결과의 분석
제1절 북한탈출 이전까지 북한에서의 경험
1. 북한에서 태어나 유년, 소녀시절의 경험
2. 군대 생활과 오리공장에서 오리사육공의 경험
3. 대학시절과 졸업 후 직장생활의 경험
4. 고난의 행군시기의 다양한 경험(1990년대 중?후반
5. 결혼과 북한탈출 배경(1994∼2004년도
제2절 북한탈출 후 한국에 입국하여 겪었던 경험
1. 북한탈출 후 중국을 거쳐 한국에 입국하기 전까지 경험
2. 한국사회 적응을 위해 겪어야만 했던 역경
제3절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까지의 경험
1.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지원제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
2. 한국사회에서 고난을 딛고 적응에 성공
3. 남북한 문화의 차이로 인한 남북의 인식 차이
4. 지원제도의 부분별 연구 참여자의 수혜 현황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결
남북 접경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30여 년간 행정공무원으로 재직해온 저자는 북한이탈주민 지원 등 북한과 관련된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세상에 드러나지 않았던 그들의 숨겨진 슬픈 사연을 알게 되면서 북한과 북한이탈주민에 관심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싶은 열정을 갖게 되었다. 이에 북한을 체계적으로 알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여 북한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더하면서 전문지식을 습득하였다. 이러한 배움의 과정을 거쳐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평소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싶었던 북한이탈여성의 북한에서의 생활, 죽음의 사선을 넘는 북한탈출, ...
남북 접경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30여 년간 행정공무원으로 재직해온 저자는 북한이탈주민 지원 등 북한과 관련된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세상에 드러나지 않았던 그들의 숨겨진 슬픈 사연을 알게 되면서 북한과 북한이탈주민에 관심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싶은 열정을 갖게 되었다. 이에 북한을 체계적으로 알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여 북한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더하면서 전문지식을 습득하였다. 이러한 배움의 과정을 거쳐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평소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싶었던 북한이탈여성의 북한에서의 생활, 죽음의 사선을 넘는 북한탈출, 남한에 입국하여 적응하는 과정을 시간과 공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한 그 결과를 정리하여 책으로 출간하였다.
이 책은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는 통일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북한이탈여성에 관한 이야기다. 책 속에는 북한이탈여성들의 눈물과 고통으로 점철된 생애 드라마가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 북한에서 목숨 걸고 탈출하여 남한에 와서 겪고 있는 여러 어려움과 고통, 북한의 실상에 대한 그동안 숨겨진 이야기를 세상 밖으로 드러내서 세상 사람들에게 알리고 소통하고자 한다. 이러한 소통을 통해 북한이탈여성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을 친척, 친구, 가족처럼 따뜻하게 사랑으로 보듬어 주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독자들과 공감하길 바란다. 또한 미래의 통일을 위해서 그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공감대 형성에 조금이나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