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9
제1장 한국의 불평등과 다중격차
_황규성·강병익
1. 다중격차: 한국 불평등의 새로운 특징
2. 다중격차의 성격
3. 다중격차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4. 다중격차는 사회를 어떻게 갈라놓는가?
5. 다중격차 시대의 국가란 무엇인가?
제2장 다중격차의 역사적 기원: 다중격차 이전의 불평등
_강병익·황규성
1. 다중격차의 역사적 기원을 살펴보는 이유
2. 격차를 통한 발전, 성장과 격차의 구조화: 1960~1980년대
3. 발전국가의 불평등 관리 방식
4. 불안정한 민주주의 체제의 출발: 87년 민주화와 97년 외환위기
사이
제3장 다중격차의 확대와 구조화: 1997년 이후 불평등
_황규성·강병익
1. 불평등의 구조화 개념, 다중격차
2. 다중격차의 형성 배경
3. 다중격차 삼각축의 내부 구조
4. 다중격차의 존재형태
5. 다중격차의 디스토피아: 세대승계
제4장 한국의 불평등 추이와 구조적 특성
_전병유·정준호·정세은
1. 불평등에 관한 이론적 논의
2. 한국의 불평등 추이와 구조적 특성
3. 다중격차의 구조와 정책적 함의
제5장 다중격차와 사회통합의 다중장벽: 경제자본, 인적자본, 사회자본의 동조성
_김희삼
1. 경제자본, 인적자본, 그리고 사회자본
2. 경제자본과 인적자본의 동조성
3.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동조성
4. 경제자본과 사회자본의 동조성
5. 평등주의적 교육, 복지, 노동정책의 필요성
제6장 약자들의 연대는 왜 나타나지 않는가?: 프레카리아트 논의를 중심으로
_장지연·신진욱
1. 불평등과 연대
2. 기존 논의: 계급은 여전히 유효한 균열선인가?
3. 노동계급의 분화: 자본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4. 노동시장지위별 상태와 균열선
5. 계급연대에서 주목할 지점: 고용형태의 다양성과 불안정노동의
복합성
제7장 다중격차 시대의 노동-시민 연대
_이철승
1. 노동시민연대의 와해, 복구는 가능한가?
2. 시민사
케케묵은 주제인 불평등을 다시 꺼내야 하는 이유
한국의 불평등 두껍게 읽기
불평등과 양극화가 기사의 단골메뉴가 된 지 오래다. 한국의 불평등과 양극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이야기가 못해도 일주일 걸러 하루는 보도된다. 차이의 영역도 다양해진다. 매일매일 새로운 불평등 양상이 등장한다. 자산과 소득, 교육과 문화, 지역과 주거…. 불평등과 양극화에는 한계도 장벽도 없는 듯하다. 이는 그만큼 문제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다는 뜻일 텐데, 가슴과 머리는 쉬이 동하지 않는다. 해결책은 멀고, 자조와 포기는 가깝다. 불평등...
케케묵은 주제인 불평등을 다시 꺼내야 하는 이유
한국의 불평등 두껍게 읽기
불평등과 양극화가 기사의 단골메뉴가 된 지 오래다. 한국의 불평등과 양극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이야기가 못해도 일주일 걸러 하루는 보도된다. 차이의 영역도 다양해진다. 매일매일 새로운 불평등 양상이 등장한다. 자산과 소득, 교육과 문화, 지역과 주거…. 불평등과 양극화에는 한계도 장벽도 없는 듯하다. 이는 그만큼 문제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다는 뜻일 텐데, 가슴과 머리는 쉬이 동하지 않는다. 해결책은 멀고, 자조와 포기는 가깝다. 불평등과 양극화는 한국 사회의 기본값이 된 걸까.
불평등에 관한 모든 통계가 연일 신기록을 경신하는 현실에서, 자포자기는 당연한 것일지 모른다. 문제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해결책을 강구하고, 함께 의견을 모은다 해도 변화의 가능성이 보이지 않으니 그럴 수밖에. 차라리 그 시간에 돈푼이라도 더 벌 궁리를 하는 게 세상을 사는 지혜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문제 상황에 익숙해져 그것이 문제라는 인식조차 잃어버리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 할 ‘문제’인지 모른다.
어디서부터 해답을 구해야 할까.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단칼에 베어버린 알렉산더 대왕의 행동처럼 일거에 해결이 가능하다면 바랄 게 없겠지만, 복잡한 문제에 간단한 해결책은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 들어 한국의 불평등에 나타난 불평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