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불교교육이란 무엇인가? 13
1. 불교교육의 학문적 접근·13
1 불교교육학이란 무엇인가?·13
2 불교교육학의 연구 동향·15
3 미래의 불교교육학과 과제·17
4 서구문명의 바탕: 개신교, 불교교육의 중요성·19
2. 불교교육의 세 가지 요소·21
1 불교적 교사-아사리·23
2 불교적 학생·24
3 불교의 가르침: 교육내용·25
3. 불교의 교육목적·27
4. 불교의 교육기능·29
5. 불교교육의 인간 형성론·31
1 불교적 인간 형성의 중핵-뛰어난 교육방법으로서의 대기설법·31
2 불교교육의 장점과 그 가치: 최상의 교육적 가치와 교육이론으로서의 가능성·32
3 부처님의 위대한 교육방법의 한 예; 앙굴리말라의 교화·34
6. 불교의 교육과정은 무엇이고, 그 의의는 무엇인가?·36
7. 불교 교육과정의 형태·38
2장. 불교의 교육원리 41
1. 초기불교의 교육: 불교교육의 시작-초전법륜과 교단 성립으로 인한 전법교화의 교육적 의의·41
2. 초기불교 교단의 교육·43
1 초기불교 교단의 공동체 형성시 교육적 배경·43
2 부처님의 인격과 설법에 감화를 받고 출가한 사람들·45
3 화상과 제자와의 관계·47
4 제자〔행자〕의 교육내용: 계율과 그 교육적 의의·57
5 부처님의 교육방법·61
3. 초기불교의 교육과정·72
삼학三學의 수행구조·73
3장. 불교교육의 학문적 기초 79
1. 불교교육의 기초·79
1 초기불교 교육방법의 토양: 온蘊·처處·계界·79
2 불교교육의 철학적 기초·87
2. 압축과 발현의 교육적 전개에 대한 이해·100
3. 종교교육으로서의 불교교육과 교육내용·교육방법, 종교교육의 가치·104
1 경전 내용의 교육적 효과와 그 의의·105
2 교육방법: 연령과 능력, 발달과업 등에 따라 적정한 교육을 해야 함·107
3 종교교육의 가치·108
4장. 남방 테라와다 불교의 교육과정 109
1. 네 가지 선(四禪의 수행과 그 단계별 과정·109
1 초선
한국불교계에 불교를 학문적 시각에서 응용하는 ‘응용불교학’이 등장한 것은 불과 25, 6년 전이다. 이후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데, ‘불교교육학’, ‘불교사회학’, ‘불교경제학’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불교교육학’과 관련해서는 학술 논문은 어느 정도 발표되고 있지만, 저서로는 박선영 교수가 80년대 초에 펴낸 ??불교와 교육??과 ??불교와 교육사회?? 등이 있을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저자는 몇 년 전에 학술서인 ??불교교육론??을 펴낸 바 있으며, 이번에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불교교육에 관한 대중적인 성격의 책을 최초로 펴내게 되었다. 이미 타 종교, 특히 기독교에는 관련 대중서가 상당수 출판되어 있는 현실에서 만시지탄이 아닐 수 없다.
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인간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다. 불교교육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마음을 닦음으로써 깨달음을 향해 변화해 가는 인간의 형성적인 측면이 명백하게 드러나는 것이 불교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마음을 닦는다는 것은 수행이지만, 마음을 닦음으로써 인격에 변화가 있게 되고 종국에 깨달음을 얻을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불교는 ‘교육’과 깊은 관련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특장점이 있는 불교의 교육에 관해 이 책은 교육과정의 입장에서 개괄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즉 초기불교, 남방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의 중관과 유식, 그리고 천태의 교육과정, 불성의 교육과정으로서의 의미, 종교교육과정으로서의 불교, 마지막으로 선禪의 교육과정 등을 주제로 하여 전체 흐름과 각각의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불교교육이란 무엇인지, 불교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은 어떠한지, 불교교육이 왜 필요한지? 등 불교교육의 기본적인 개념과 함께 역사적으로 전개된 교학에 나타나 있는 불교교육의 인간 형성 측면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교육과, 종교로서의 불교와의 접점에 서 있는 불교교육에 관해 독자들은 이 책을 읽어감으로써 불교교육이 우리에게 주는 의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