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회사원의 힘
노동법이 필요한 순간 | 부적응자를 위하여
1장 우리들의 무력감
회사원의 뒷담화 | 화풀이는 부하에게 | 영혼 없는 사인 | 모든 국민의 일할 권리 | 내 자유를 팝니다 | 노동법은 관계의 룰 | 시간의 구속과 월급 | 회사가 원하는 인간상 | 일상까지 침범하는 회사
2장 사표는 절대 금지
일개 노동자의 최고 전략 | 절대 사표 내지 말 것 | 합법적 해고는 어렵다 | 젊은 검사의 자살 | 단 하나의 삶의 모델 | 종속을 약속한다 | 폭언과 갈굼의 리더십 | 상사가 주는 모멸감 | 그것은 괴롭힘이다 | 회사 밖의 도움 | 교묘하게 사직서를 요구한다면 | 폭언은 녹음할 것 | 개인적 해결을 넘어
3장 일을 거부해도 될까
신입 사원의 마음 | 피라미드 관료제 | 임원이 되고 싶은가 | 승진의 정점에서 | 실세가 된다는 것 | 고분고분 따르는 명령 | 조직과 윤리적 사고 | 상사에게도 중요한 작업 거부권
4장 조직이 주는 명예란
상과 벌을 받는다면 | 사내 연애로 인한 해고 | 근무 기강 다잡기 | 묵비권, 혹은 부인할 것 | 징계 무효가 되는 경우 | 갑작스러운 통보 | 늘 공정하지 않다 | 평판과 낙인의 연장선 | 처벌 수위의 문제 | 시말서와 양심의 자유
5장 일그러진 오피스의 나날
사무실에서 죽어 간 사람들 | 성실함의 끝, 과로사 | 주문처럼 되뇌는 법 조항 | 점심시간에 목을 맨 김 부장 | 과한 업무 스트레스 | 업무와 죽음의 관계 | 약자는 막을 수 없었다 |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 | 가학과 피학의 관계론 | 사무실 소시오패스 | 꼼꼼히 기록할 것
6장 회사 그만두는 법
안주하고 싶은 일상 | 퇴사라는 결단 | 주말만이 내 인생 | 달콤하고 구체적인 이익들 | 작은 반란자를 제압하는 장치들 | 나이에 맞는 진급 | 하고 싶은 일을 한다 | 보통의 삶에서 벗어난다 | 두려운
<프레시안>
에 ‘절대 사표 내지 마라’라는 칼럼으로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었던 변호사 양지훈의 첫 번째 책.
거대한 회사 조직에서 약자일 수밖에 없는 일개 노동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노동법을 아는 것이다. 회사원이 반드시 알아야 할 실전 노동법 그리고 한국사회의 조직문화를 바라보는 독창적 시선!
취업과 퇴사를 모두 열망하는
회사원들의 굴곡진 조직 인생
프레시안>
악착같이 취업에 성공했던 많은 이들이 퇴사를 꿈꾼다. 저성장 시대, 평생직장의 개념이 없어진 지금의 ‘퇴사’는 일상이자 그 자체로 문화적 트렌드가 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신분권으로서 ‘직업’을 선택한 우리들 대부분은 쉽게 퇴사할 수 없다. 오래오래 버텨도 인사 평가 저성과자가 되어 이제 회사를 나가 달라는 강력한 시그널을 받을 수도 있다(본문 98쪽. 만성적 실업이 당연한 현대 사회에서 구조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는 회사원들은 퇴사 충동을 억누르고 정신없이 하루 8시간을 사무실에서 보낸다. 그렇게 시간을 보내다가 파트장 팀장 등 보직을 맡거나 회사를 떠나야만 하는 ‘어떤 자연스러운 시점’에 도달한다(본문 100쪽. 부하 직원이 많고 상급자가 적은 피라미드 관료제, 하후상박의 형태 조직의 숙명이다. 보통은 40대 중·후반에 조직 인생을 마무리해야 한다. 그 다음은 모두가 평등하게 대부분 자영업자의 길로 합류할 수밖에 없다(본문 220쪽. 버텨야 하는가, 그만둬야 하는가. 워크숍과 회식, 단결과 가족적 문화로 촘촘하게 기획된 회사의 문화적 경로 속에서 근로자는 순한 양이 되어 회사 조직의 객관적 속사정을 보지 못하게 된다(본문 40쪽. 물론 회사는 절대 악이 아니다. 자본시장에 노출된 법인으로서, 비정한 자본주의를 버티는 조직의 생존 전략이 회사원들의 바람과 별개로 존재할 뿐이다.
‘퇴사 선배’ 변호사가 알려 주는
몰라서 써먹지 못했던 노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