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변화의 방향을 말하다
개헌논의는 무엇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가
한 대통령이 성공하려면
유럽을 공부한다는 것
개헌이 과제인 이유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길
저출산의 심각성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
경제민주화의 핵심은 이것
경제난국을 해결할 협치 문화
정책전환은 신중하게
민생경제의 최우선은 물가안정
경제의 선순환을 위한 내수 진작
한국 경제의 패러다임 전환
선제적 대처가 위기를 막는다
2만 달러대의 늪
잠재성장률의 진실
복지와 재정건전성
지방재정의 위기
건전한 재정을 위하여
안전한 대한민국의 꿈
안전에 대한 자기성찰의 시간
국가재정을 위한 규칙
국민연금에 대한 불안
국가 이미지
부동산이 안정되는 날까지
세계의 연결을 가리키다
국제금융 대변화의 틈바구니에서
슈퍼달러와 엔저, 기회로 만들자
원화의 국제화
미국 우선주의에 대응하기
남의 나라 재정위기, 남 일이 아니다
유럽의 경제위기에 대한 생각
지금부터가 고비
아베노믹스의 불안
미국의 셧다운, 디폴트의 의미
워싱턴발 정치 리스크와 달러의 위상
한·미 FTA에 대한 트럼프의 오해
신흥국 경제에서 벗어날 기회
국제 신용평가사 결정의 영향력
세계 석유시장의 구조 변화
AIIB 창립회원국으로 서다
론스타 ISD를 계기로
브렉시트와 한국
미국과의 통상외교
개방 없이 성공할 수 없다
TPP 가입의 의미
트럼프의 통상정책과 한국
포용의 길을 묻다
전 지구의 화두, 포용적 성장
다이나믹코리아의 희망
양극화,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교육은 계층이동의 사다리인가, 장애물인가
위기에 몰린 이들을 위한 사회안전망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는가
여성을 가로막는 유리천장
청년실업, 서비스산업이 답이다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투명한 사회로 가는 한 걸음
자본주의의 변화를 고민할 시간
도전하는 청년들을 위하여
기후변화 대응 동참의 의미
기후변화 대응은 짐이 아니다
새 역사를 쓰다
전 세대, 전 계층이 모두 함께 나아갈 경제의 선순환을 위해
1960년부터 한국 경제의 실질GDP 규모는, 세계 GDP 규모가 여섯 배 증가한 데 비해 31배나 증가하는 엄청난 압축성장을 이루었다. 이 경제성장은 1990년대 초까지 인적자본과 물적자본에 의존한 성장이었다. 그러나 저출산·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자본의 한계효율도 저하되는 상황에서 우리 경제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생산성을 높여야만 할 것이다. 소비활동이 활발해야 투자가 잘 이루어지며 이것이 고용으로 연결되어 경제의 선순환구조를 만든다. 소비를 위축시키는 요인들이 단기간에 해결되진 않을 것이다.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즉 사람들이 서로 믿고 협동심을 발휘하게 만드는 신뢰·규범·네트워크 등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일체의 무형자산이 우리에게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국제금융경제의 급격한 변화의 틈바구니에서,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내수비중을 높여 외부충격을 완화하는 것도 위기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 서비스산업 육성, 중소기업 발전,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등 우리 경제의 장·단기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도 배가되어야 한다. 아울러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 즉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면서 지속가능한, 모든 국민들이 경제성장에 기여할 공평한 기회를 갖고 그 성과가 공정한 규칙에 따라 골고루 분배되는 성장으로 가지 않으면 진정한 선순환은 결코 이루어지지 않는다. 어려울 때 더욱 멀리 내다보는 자세가 중요하다.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전환된 세계 최초의 국가 대한민국의 역할
그동안 한국 경제발전에 대한 세계의 관심은 대부분 한국의 고도성장기였던 1960~70년대에 초점이 맞춰져 조명돼왔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한국이 압축적 고도성장의 부작용인 인플레이션 경제를 치유하기 위해 채택한 1980년대 안정화 정책이나 자율·개방정책에도 주목하게 되었다. 1997년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했던 금융·기업·노동·공공 4대 부문 개혁과 전 국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