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인프라 아키텍처를 살펴보자 1
1.1 인프라란 무엇일까? 3
1.2 집약형과 분할형 아키텍처 5
1.3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10
1.4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 13
1.5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 17
제2장 서버를 열어 보자 21
2.1 물리 서버 23
2.2 CPU 27
2.3 메모리 29
2.4 I/O 장치 32
2.5 버스 38
2.6 정리 41
제3장 3계층형 시스템을 살펴보자 43
3.1 3계층형 시스템의 구성도 45
3.2 주요 개념 설명 46
3.3 웹 데이터 흐름 54
3.4 가상화 68
제4장 인프라를 지탱하는 기본 이론 75
4.1 직렬/병렬 77
4.2 동기/비동기 83
4.3 큐 91
4.4 배타적 제어 97
4.5 상태 저장/상태 비저장 102
4.6 가변 길이/고정 길이 107
4.7 데이터 구조(배열과 연결 리스트 113
4.8 탐색 알고리즘(해시/트리 등 117
제5장 인프라를 지탱하는 응용 이론 127
5.1 캐시 129
5.2 끼어들기 133
5.3 폴링 137
5.4 I/O 크기 142
5.5 저널링 148
5.6 복제 155
5.7 마스터-워커 159
5.8 압축 163
5.9 오류 검출 169
제6장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 175
6.1 네트워크 177
6.2 계층 구조 178
6.3 프로토콜 182
6.4 TCP/IP를 이용하고 있는 현재의 네트워크 186
6.5 [레이어 7]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 HTTP 189
6.6 [레이어 4]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 195
6.7 [레이어 3]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IP 206
6.8 [레이어 2]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로토콜 이더넷 214
6.9 TCP/IP를 이용한 통신 이후 221
제7장 무정지를 위한 인프라 구조 227
7.1 안정성 및 이중화 229
7.2 서버 내 이중화 232
7.3 저장소 이중화 238
7.4 웹 서버 이중화